와당의 표정
정민 엮고 지음 / 열림원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당'이라고하면 그게 뭐지? 하면서 의아해 할지도 모른다.

나도 처음에는 와당이란 단어에 수막새가 떠올랐는데

와당이라는 단어로 다가오니 다른것인가? 싶어 확신이 없었다.

와당은 우리말로 수막새이고 수키와의 끝을 막음하는 장식이다.

수키와

암키와

 

 

궁에 갈 때마다 보아왔었고 단아함과 정교함이 있는 건축물에

늘 감탄을 하곤했었는데 정확한 용어에 대해서는 알려고 하지

않았었다. 한국사 공부를 하면서 통일신라 불교문화에 대한

건축물을 공부하면서 수막새에 대해 알게 되었고

조상들이 처마 밑에 막음 처리 하나에도 저렇게 부적과도

같은 의미를 부여하며 정성스런 건축물을 만들었구나...란

생각에 감탄을 하며 보게 되었다.

실제로 와당을 보면 그 정교함에 놀라움을 느끼곤하는데

우리 나라는 삼국시대를 지나면서 와당 예술을 꽃을

피웠으나 불교의 영향으로 연꽃 문양이나 귀면, 인동문, 보상화문이

대부분이라 내가 보았던 문양도 연꽃 무늬가 대부분이었던데 반해

중국의 와당에는 참으로 다양한 문양이 있어

이천년도 더 된 옛사람들의 소망을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중국의 와당 문양을 모아놓은 와당집인데

나온 것이 벌써 십여년도 넘은 것이라고 하니

언제라도 보았으면 좋았을텐데..하는 아쉬움이 남기에

아마 내가 느꼈던 아쉬움들이 모여 십여년이 넘게 절판되었던 책이

세상에 다시 나와진 것이 감격스럽기까지 하다.

궁에서도 상서롭게 생각되어지던 동물들은 물론

재미있는 얼굴 표정들도 볼 수 있어 엄격하고 위엄만 있었던

시대라는 고정관념을 깨주기도 하였는데

같은 동물이라도 행동 모양과 같이 그려진 것들이 다양하여

중국 사람들의 와당에 깃든 다양함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보여지는 와당은 전국시대 제나라, 한나라, 진나라, 북조시대 등

다양한 나라의 와당을 엿볼 수 있는데 정가운데 나무 모양이 들어가는

제나라의 와당과 그 모양이 화려하고 섬세한 한나라 와당등은

각 나라마다의 문화를 엿볼 수도 있는 계기가 됐던 것 같다.

와당의 탁본 모양과 함께 저자의 느낌이 짤막하게 쓰여져 있어

흥미롭게 볼 수 있었고

딸아이와 함께 마주앉아 보면서 재미있는 와당문양은

아이와 함께 보기도하였는데 아이의 눈에도

다양한 와당의 문양들이 재미있고 신선하게 다가와졌던 듯하다.

 

 

 

딸아이 겨울방학중에 갔었던 백제전에서 찍었던

연꽃무늬 수막새인데 실제로 보면서 정교함에 놀랐었는데

보여지는 문양이 많지 않아 중국의 와당처럼 다양한 모양이

있을거라고는 생각을 못했었다. <와당의 표정>을 보며

중국의 다양한 와당의 문양을 접하고보니

다양함에 있어서 조금 아쉬움이 들었는데

실제로 다양한 와당의 문양을 접한다면 얼마나 신기하고

재미있을까 싶었다.

 

와당 문양에 대한 역사적인 이야기가 조금 더 깃들어져

있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은 아쉬움이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