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자본주의 새로운 시작
폴 메이슨 지음, 안진이 옮김 / 더퀘스트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무너진 자본주의를 넘어 어디로 가는가

생산이 기계의 몫이라면,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할까?

99퍼센트가 만드는 '포스트자본주의'가 온다




신자유주의 :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을 비판하고 시장의기능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을 중시하는 이론.

1970년대부터 케인스 이론을 도입한 수정자본주의의 실패를

지적하고 경제적 자유방임주의를 주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포스트 자본주의?

이 책에서는 '자본주의' 내부에서 출발해서 만들어지지만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경제체제라는 의미를 잘 전달하기 위해

'포스트자본주의'를 택했다고 한다.


자본주의가 무너지고 있다는 이야기는 비단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그동안 자본주의의 어두운

앞날을 예견하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쏟아져나왔는데

근래 그 심각성에 가속도가 붙었을 뿐이다.

경제학자들은 자본의 검은 음모론에 대해 언급하곤하는데

마치 한편의 영화처럼 다가오는 이 음모론은 이야기를

듣고 있다보면 완전히 허구의 이야기는 아니란 느낌을 받는다.

다른 전문가들은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에게 어두운 측면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반감을 표하기도하지만 나는 검은 음모론을

지지하는 편이다.

몰랐을 때는 전혀 모르고 지나갔지만 경제 관련 책을 접하다보면

어느샌가 자본주의의 빈틈을 이용하는 무리들이 너무

많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힘없는 자는 늘 개미처럼

비루한 삶을 살며 그들을 지탱해야한다.

이해하고도, 인정하고도 싶지 않은 이야기지만

 자본주의 체계를 들여다보고 있으면 울화통이 치밀어 오를 때가 있다.

자본주의에 대한 시위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고

그것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자본주의를 만날 수 있다.

사람들은 점점 더 자본주의 실체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고

그것에 맞서고 있다.

1930년대처럼 좌파나 극우처럼 이념과 사상이 첨예한 양상을 보이던

시절 좌파가 패하고 우파가 승리한 것처럼 보였으나

몇십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 자본주의가 승리했다고도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자본주의를 넘어서 포스트 자본주의로 들어서는 길목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대안에 대해 이분법적인 생각에 치우지지

않고 냉철하고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게 도와주고 있지만 역시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큰 위험을 안고 가는 자본주의의

모순들을 짚고 앞으로의 대안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