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혐오_주의 ㅣ 알마 해시태그 1
박권일 외 지음 / 알마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혐오라는 말이 사람들 입에 많이 오르내리게 된 것은 최근 강남역 살인사건이 있은 후부터지 않을까 싶다. 일반인들이 '혐오'라는 말을 입에 담는 일이 많지 않다고 생각했고 SNS를 즐겨하지도 않았기에 단어의 의미는 알되 나와는 조금 동떨어진 느낌만을 가졌을 뿐이다. 그러던 것이 강남역 살인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일어나고 여성비하, 혐오라는 단어가 SNS에 퍼지기 시작했다. 최근 이슈화된 페미니스트적인 생각과 연관되어 더욱 확대되어진 느낌이 들었던 것이 바로 이 '혐오'라는 단어가 아닌가 싶다. 이 혐오라는 감정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주체로 하여금 대상으로 다가가게 만드는 감정인 분노와 달리 혐오는 주체를 대상과 가능한 멀리 떨어뜨리려 한다. 동물적인 것, 열등한 것이 나를 오염시킬까 꺼림칙하고 두렵기 때문이다. '주체와 대상의 분리', 이것이야말로 혐오라는 감정의 특성이다. 라고 사회비평가인 박권일씨는 이야기하고 있다. 이 혐오란 단어와 함께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국가적 테두리 형성이 전혀 안되고 있는듯한 느낌의 '헬조선'이란 단어가 전국을 강타했었다. 신문, 뉴스 기사는 물론 리더십 부재에 관한 서적에도 꼭 등장하게 된 것이 바로 이 단어인데 그저 썩어빠진 나라에 대한 구원의 반어적 표현이라고 생각했었던 나는 이 책을 통해 보여지는 또 다른 헬조선의 의미를 보며 꽤 충격을 받게 되었는데 전형적인 이분법적 식민주의 사고방식인 '미개한','문명'이라는 말이 헬조선 담론과 밀접한 사실을 이야기하며 혐오는 다른 어떤 정서보다 식민주의적인 감정이다.라는 부분에서 몇번을 다시 되뇌어 읽어보게 되었었다. 뭔가 아득히 멀리 있는 사물을 애타게 찾는 듯한 느낌과 미세한 충격에 연달아 강타당한 느낌이었다. '혐오'라는 단어가 주는 불편함이 있긴하지만 책의 얇은 두께감만 믿고 긴장을 풀었던게 문제였다. 첫 장부터 강하게 다가와 뒤흔들어놓는 통에 정신을 자꾸 놓게되는 혼미함마저 느끼게 됐던 <#혐오_주의> 최근에 읽었던 책 중에 임팩트가 가장 쎈 책임은 분명한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