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취인 :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 비행청소년 12
강신준 지음, 신병근 그림 / 풀빛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취인 :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 어렵게 다가오는 자본주의를 제목부터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게 나온 책이라 읽기 전부터 신선하게 다가왔던 것 같다. 자본주의....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사람들마다 이 자본주의에 대한 의견이 분분할텐데 사람들은 대체로 이 자본주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질좋은 물건을 만들고 좋은 서비스, 경쟁을 해야 내것으로 만들 수 있는 사회, 모든 것은 누군가와의 끊임없는 경쟁으로 얻어야만 하는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상대방을 밟고 있는 사람들은 더 부유하게 없는 사람들은 철저하게 고립하게 만드는 것이 자본주의란 이면의 모습이 아닐까..란 생각을 나이가 먹어가며 많이 해보게 된다. 과연 누구를 위한 사회이며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하는 사회가 된 것일까....경제란 것이 하나라도 더 갖기 위해 혈안이 되어 피튀기는 쟁탈전이 아니었던가 싶다. 무한경쟁시대 속을 살아가는 것도 힘이 든데 가진 자들의 신의 놀이에 꼭두각시 역할을 하는 것은 언제나 가진것 없는 우리들이었기에 요즘같이 회의적이고 희망없는 자본주의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경제란 것의 어두운 면만 보며 관심밖으로 밀어내면 안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하는데 바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어차피 해도 안된다고 자포자기하며 밀어내 귀막고 살아간다고해서 더 나은 삶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니 일단 경제에 대해 우리가 짚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한 이유라 하겠다. 하지만 역시 책을 읽다보면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한계성이 여실히 드러나는데 자본주의 역사를 통해 자본주의에 대해 좀 더 냉철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은 좋았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자본주의가 숙제처럼 남아있음은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자본주의로 인해 전 역사속에서 고통받고 괴로워하던 삶을 탈피할 수 있었지만 그것이 또다른 고통의 삶이 시작되리라는 것을 예견했던 사람이 얼마나 되었을까? 경제에 대해 상업사회로부터 자본주의의 시대로 발전하기까지를 이해하기 쉽고 역사적인 측면에서 서술하고 있어 자본주의 사회의 발달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어렵게 다가오는 자본주의에 대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책이라 자본주의를 어렵게 생각했고 머리가 아프다며 외면했던 사람들이 읽어보기에 재미있게 읽어볼 수 있는 책임은 틀림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