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리스타는 왜 그 카페에 갔을까 - 바리스타가 인정한 서울 도쿄 홍콩 카페 27
강가람 지음 / 지콜론북 / 2016년 11월
평점 :
바리스타가 인정한 서울, 도쿄, 홍콩 카페 27곳!
과연 어떤곳이기에 바리스타도 인정하게 된 것일까? 제목부터 너무 궁금했던 책을 만났다.
우리 남편은 밥값과 맞먹는 한잔의 커피의 소비를 사치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커피는 생각해도 비싸게 느껴지긴 한다.
경제학자들이나 세계 재벌 순위에 드는 막강한 부를 축척한 재벌들도 적은돈이라고 생각해서 쉽게 쓰는 경향이
습관으로 이어지면 결국 돈모으기가 쉽지 않다고 조언하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피의 맛과 향과 그로 인해 마음 편해지는 분위기와 여유를 쉽게 포기하기란 쉽지 않다.
책 보는걸 좋아하기에 커피와 카페가 동시에 떠오르는 이유 중 하나지 않을까 싶은데 은은한 커피의 향을 느끼며 조용한 음악과 함께 읽는 여유있는 독서는 빠르고 바쁘게 살아가는 우리의 삶을 느긋하게 해주고 조용히 책을 읽다보면 가슴속에 쌓였던 스트레스나 상대방에 대한 미움도 한결 가시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돈을 무시할 순 없지만 그렇다고 커피 한잔이 불러오는 긍정적 요인까지 부인할 순 없을 것 같다.
작년 딸아이 학교에서 4회분으로 하는 바리스타 수업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전문적인 수업은 아니고 커피를 좋아하는 엄마들이 조금 더 커피에 대해 알 수 있고 맛을 내 마실 수 있는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었는데 바리스타란 직업과 커피의 맛을 내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지 그때 처음 알았다. 단순히 커피를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쉽게 생각했다는게 어처구니가 없을정도로 다가왔기에 그 다음부터는 바리스타를 보는 시선이 달라지게 된 것 같다. 수업을 들을 때 바리스타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주셨는데 힘의 강약의 조절만으로도 커피맛이 확 달라진다는 이야기와 사람 입맛을 사로잡는 블렌딩은 고난위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카페마다 그 향과 맛을 음미하며 마시게 되었던 것 같다.
책에서 소개되어지는 카페가 등장하는 세 곳인 서울, 도쿄, 홍콩의 커피 맛의 차이는 일본은 산미가 강하고 강배기가 너무 진한 강배전 위주의 카페가 홍콩은 음식이나 간단한 베이커리와 어울리는 다크 초콜릿 맛이나 밸런스 위주의 대중적인 커피가 주를 이루며 한국은 손님의 성향을 잘 나타나는 카페의 블렌드와 무난하게 즐길 수 있는 달콤하면서도 쌉싸름한 커피를 선호한다고 한다. 커피 맛의 선호도는 역시 각 나라마다 음식 문화가 다르듯이 추구하는 맛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커피용어의 소개와 세 나라의 각기 다른 카페의 소개를 보며 카페들의 특징과 나라마다 추구하는 커피 맛과 분위기 등을 알 수 있었는데 아이와 서울 나들이 갈 때 이 책에 소개된 카페에 꼭 들러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