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치 전쟁 - 2022년 대선과 진보의 자해극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4월
평점 :
대선을 앞둔 시점에 읽었던 <좀비 정치>를 통해 다시금 대한민국 정치사의 불운한 현주소를 짚어봤었는데 대선이 끝나고 이제 곧 윤석열 정부의 출범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만나게 된 <정치 전쟁>은 그간 만났던 과격한 제목과 길을 같이 한다.
2022년 대선과 진보의 자해극, 역대급 비호감 대선의 비밀, '아무 말 대선'.... 격해도 너무 격한 것 아닌가? 낚으려고 너무 쎈 말로 가는 거 아냐? 란 생각이 들 수도 있겠다. 지금껏 그가 펴냈던 제목들이 모두 얌전하지 않았고 이렇게까지 과격할 것까지야... 란 우려가 들만했어도 사실 제목 하나에 국민이 느껴야 할 정치 울분이 약간이나마 해소되는 기분이었으니.... 하지만 지금껏 읽었던 책에서는 그간 느꼈던 정치인들의 짓거리에 대한 답답함 등을 글을 통해 해소하는 경향이 높았다면 <정치 전쟁>을 읽으면서는 이런 사태가 벌어졌고, 자꾸만 되풀이되는 대한민국 정치 현주소에 대한 우려와 반감이 사실 어이없는 짓거리를 해대는 그들과 다르지 않다는 데서 기인하고 있으니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자기반성이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알고 있지만 그들과 나는 다르다는 식으로 매도하며 손가락질을 해댔는지도 모르겠다. 가만히 생각하면 대선 결과만큼이나 너무 충격적이지만 이렇게 돼버린 현주소를 만든 건 비단 그들만은 아님을 상기했을 때 그들의 수준만큼 국민들의 수준 또한 별거 아님을 간과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컸다.
지난 책에서도 언급했던 이야기들이 대거 등장하지만 그렇다고 같은 이야기를 우려먹는다거나 식상하게 다가오지는 않는다. 소설도 아닌 것이 강준만 교수가 낸 책은 소설을 읽는 것 같이 몰입하게 만든다. 아마 같은 이유로 그의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이들이 많으리라 생각되는데 여하튼 소름 끼치게 적나라한 글들로 인해 심정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내편 아니면 적으로 간주하는 팬덤 정치와 내로남불식 해석, 정치적 이념보다 전리품 정치란 오명으로 남은 캠프 정치, 문재인 집권 동안 보인 아리송한 지지율의 속내, 그리고 무엇보다 어떻게 보면 오해할 소지가 다분한 이대남의 대한 이야기는 달리 다가오기도 했는데 어쨌거나 페미니즘을 앞세우는 묘한 구도로 오해를 받았거나 자신이 발언을 했거나 등으로 많은 구설수에 올랐던 이대남들이 윤석열과 이준석이 언급한 공약의 피해자일 수밖에 없는 상황은 이미 예견되어 있었지만 점점 아무 말 대잔치로 드러난 실효성 없는 공약들 앞에 또 한 번 놀아나준 꼴이 되어버려 무어라 설명할 단어를 찾을 수가 없을듯하다.
강준만 교수님의 책을 읽을 때마다 타협이란 단어는 없어지고 점점 전쟁화되는 정치판의 모습에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그들이 조장하는 것에 휘둘리기만 하는 것 같아서 안타깝기만 한데 휘두르는 인간이나 휘둘리는 인간이나 서글프기는 매한가지라 이제는 이런 짓거리 좀 그만하고 제대로 일 좀 해주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어쩌면 이 또한 꿈같은 이야기인 것 같아 답답함은 씻기질 않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