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은 나를 그린다
도가미 히로마사 지음, 김현화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3월
평점 :
절판


 

 

 

 

어린 시절 사고로 부모님을 잃은 '아오야마 소스케'는 그 충격으로 점점 사람들로부터 벗어나 움츠러들게 된다. 처음엔 괜찮은 척하며 필사적으로 노력했지만 어느 순간 그런 노력들이 덧없어져 학교에 있다가도 불쑥 아무도 없는 빈집으로 돌아오게 되었고 그런 횟수가 잦아들며 진학이나 미래에 대한 것들을 생각해 볼 수도 없게 된다. 홀로 남겨진 소스케를 돌봐주던 작은 아버지 가족들도 자기 안으로 숨어버리는 그를 걱정스럽게 지켜보지만 당장은 어떻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렇게 시간이 흘러 소스케가 겨우 다시 힘을 내볼 생각을 했을 때 대학에 진학하며 작은아버지와 본가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새 삶을 시작하게 된다.

젊은 기운이 만연한 캠퍼스, 본인의 의지 없이 어영부영하는 사이 몇 개의 동아리에 가입하게 되었고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친구 '고마에'를 만나 조금씩 삶의 기운을 내고는 있지만 소스케는 어느 순간 거대한 벽에 갇혀버린 느낌에 자주 사로잡히고 그렇게 먼 곳을 바라보며 다른 세상에 있는듯함에서 종종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고마에의 주선으로 전시장 알바를 갔다가 '니시하마 고호'를 만나게 되고 소스케는 전혀 알아차리지 못한 수묵화를 대표하는 '시노다 고잔'을 만나 그의 제자가 될 것을 제안받는다.

아직은 미래에 대한 꿈이나 희망에 대해 어떤 계획도 없는 소스케는 교과서에서나 봤던 수묵화를 그린 일본을 대표하는 예술가인 '시노다 고잔'을 바로 알아보지 못할 만큼 예술작품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고 예술작품에 딱히 관심이 있지도 않았으며 현재 법학생이었기에 예술 학도와는 거리가 멀었기에 '시노다 고잔'의 제안에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다. 그저 알바가 끝나고 도시락을 먹고 가라는 니시하마의 호의에 전시장을 둘러보다 마주친 노인에게 전시장에 있는 수묵화를 보며 감상 몇 마디 한 것이 그의 인생에 커다란 전환점이 되리라고 그 누가 알았을까.

소설 속에 등장하는 '아오야마'처럼 수묵화하면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의 작품 두어 개를 떠올리는 게 고작인 나 같은 사람조차 책을 읽는 내내 수묵화란 주제를 담은 소설에 흠뻑 빠져들 수밖에 없게 할 만큼 이 소설은 굉장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어찌 보면 내용이 뻔해 보일 수 있지만 수묵화를 그리는 과정과 수묵화를 표현하는 문장이 너무도 생동감 있게 다가와서 빠져들 수밖에 없었는데 딱히 관심 있어 하지 않았던 분야였음에도 그림을 문장으로 생생하게 전달하는 작가의 표현이 이 소설을 다했다고 말하고 싶다.

소설 속 생동감 있는 수묵화의 표현은 실제 작가가 수묵화가로 활동하는 것이 크게 작용할 터인데 글을 조금이라도 끄적이는이라면 그런 것들을 문장으로 이렇게 잘 녹여서 표현해냈다는 것에 감탄해하지 않을까 싶다.

수묵화에 초짜인 아오야마와 일본을 대표하는 고잔의 손녀딸 지아키의 일 년 뒤 벌어질 경쟁 또한 소설을 읽는 재미로 작용하는데 잘 알지 못했던 분야를 알아가는 재미와 캐릭터들의 상처가 그림으로 승화되는 이야기 또한 가슴 잔잔하게 다가와 <독서미터 읽고 싶은 책 랭킹 1위>에 오른 이유가 납득이 가는 작품이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