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서는 <죽음의 수용소에서>란 책으로 유명한 '빅터 프랭클'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수용소에 끌려갔지만 살아남아 그의 로고테라피를 더욱 빛낸 의사이자 철학자이다. 빈 3대 학파로 알려져 프로이트, 아들러와 함께 이름을 알렸지만 나는 이시형 박사와 박상미 교수가 쓴 책을 통해 빅터 프랭클 이론을 처음 알게 됐고 그전까지 아들러 심리학에 도움을 받았던 나로서는 로고테라피란 새로운 이론 앞에 꽤 신선함을 느껴했더랬다.

전쟁 발발전의 어수선한 분위기와 피부로 체감할 수 없는 전쟁이 일어난 와중에 자신을 포함한 가족이 모두 수용소에 끌려가 게토에서 아버지가 굶어 돌아가시고 신혼 상태였던 아내의 생사도 모른 체 하루하루가 지옥 같았던 수용소에서의 고된 삶 앞에서도 삶의 끈을 놓지 않고 의미를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던 프랭클 박사의 이야기는 담담한 듯 다가오지만 그 자체로 너무 처연해서 강렬한 기억을 남긴 것 같다.

<빅터 프랭클>은 빅터 프랭클이 태어나 성장한 이야기와 간호사이자 첫 번째 아내인 틸리와의 이야기, 빅터 프랭클이 존경해 마지않았던 아버지와 어머니, 형제에 관한 이야기, 영혼을 구하는 학문이자 정신의학을 연구하는 자로서 프로이트와 아들러 학파와 갈등을 빚었던 일화, 의사를 하며 만났던 환자들, 정신질환을 앓았던 당시 환자들을 안락사 시켰던 일화와 이후 이어지는 수용소에서의 일화들이 담겨 있다. 소설에서 볼법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간략하게 담아낸 이야기 상에서도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의 슬픔과 수용소 안에서 헤어진 아내가 결국엔 죽었더라는 이야기, 오직 두 개밖에 없었던, 아내에게 선물했던 펜던트를 해방되는 날 자신처럼 살아남은 포로에게서 우연히 발견한 이야기 등은 그 자체로도 너무도 아프게 다가왔다.

추함과 아름다움, 비인간성과 인간성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죽음과 삶이라는 기막힌 손짓 속에서 스스로 죽음을 택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 모든 의미를 부여했던 그의 의미 부여화는 당시의 처참한 상황을 떠올려봤을 때 그저 존경스럽다고 밖에 표현할 수 없는데 그러하기에 그의 이론이 마음이 병들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더 공감을 얻어낼 수 있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빅터 프랭클을 연구했던 박상미 교수도 어느 책에서 빅터 프랭클로 인해 힘겨웠던 시절을 견딜 수 있었노라고 이야기했던 것처럼 신이 아닌 그 무언가를 믿고 의지하려는 사람들에겐 그의 이런 삶에 대한 강한 애착이 힘겨움을 딛고 다시 살아낼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고 앞으로도 힘겨워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에서 벗어나게 해주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