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세 번쯤 하는 게 좋아
고요한 지음 / &(앤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른아홉에 데이비드 장은 뉴욕에서 거주 중이다. 불법체류자로....

모든 것이 풍족하며 모든 것이 마음만 먹으면 이뤄질 것 같은 도시 뉴욕, 그 화려하고도 거대한 희망의 문을 찾아 세계 곳곳에서 사람들이 몰려오지만 정작 만족하며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부족함 없이 넘쳐나는 뉴욕에서 데이비드 장은 스너글러란 직업으로 돈을 벌고 있다. 아무런 육체관계없이 그저 한 침대에서 안아주고 잠들기만 하면 되는 직업 스너글러,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사람을 내 집에 불러 그저 하룻밤 가슴에 안기는 대가로 돈을 지불한다는 게 한국인의 정서에는 낯설고 요즘 같은 시대에 섬뜩하게까지 다가오지만 인간이 결핍이라 느꼈을 그것들의 자리가 얼마나 컸으면 두려움을 이기며 그를 부를까 싶었다.

사지 멀쩡한 남자가 왜 그런 일을 할까 싶지만 그런 일을 하는 데이비드 장에게는 스너글러란 직업이 육체적 관계없이 도덕적 양심에 어긋나지 않는 일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만족도가 있는 직업이다. 그저 하룻밤 힘들이지 않고 상대방을 안아주며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일은 그릇을 닦는 알바 일보다 수입이 더 짭짤하다는 점에서 이보다 더 좋을 직업은 없을 듯하다. 하지만 동양인이기에 서양인들의 구미에 맞지 않아 일거리가 별로 없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이고 오랜 기간 불법체류자 신분이기에 뉴욕 길거리를 떳떳하게 활보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데이비드 장을 위축시킨다.

그런 그가 목표로 하는 것이 있었으니 독 워킹 서비스로 알게 된 마거릿과 결혼하여 영주권을 획득한 다음 데이지와 결혼하는 것이었으니, 장의 마음이 얼마나 절실했으면 일흔셋의 할머니에게 청혼을 할까 싶었다. 이 대목에서 며칠 전에 터졌던 연예인의 사생활 스캔들이 연상되기도 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남자의 이야기지 반대로 할머니와의 결혼이 가당키나 할까 싶었지만 안락한 노년이 보장된 마거릿의 허울만 보았다면 장의 입장에서는 없는 그것이 더욱 절실하게 다가왔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해는 할 수 없지만 세상에는 참 많은 사람들이 있고 이런 일 저런 일도 있겠거니 싶지만 장의 구애에 결혼 승낙을 한 마거릿은 사별한 두 번째 남편 게리를 장과 오버랩하며 끊임없이 게리와의 추억을 떠올린다. 모든 것을 마거릿에게 맞춰줘야 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이제는 정말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없게 돼버리는 건 아닐지 염려되었던 장과 마거릿의 이야기.

사실 책 제목 때문에 이 소설을 선택한 것은 아니었다. 작가 이름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아마 선택하지 않았을 제목이었을 거라 확신한다. <사랑이 스테이크라니>란 단편집을 너무 인상 깊게 읽었기에 이번 이야기도 강렬한 무언가를 담아내지 않았을까 싶었다. 결론은 전작에서 느꼈던 강렬함은 좀 덜하지만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낼 수 있는 작가란 생각과 강렬함은 덜했지만 전작에서 느껴졌던 인간 공허함은 함께하고 있어 작가 특유의 문체를 좀 더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