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과 일본은 왜? - 반일과 혐한의 평행선에서, 일본인 서울 특파원의 한일관계 리포트
사와다 가쓰미 지음, 정태섭 옮김 / 책과함께 / 2020년 1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203/pimg_7355521372751715.jpg)
책과함께 / 한국과 일본은 왜? / 사와다 가쓰미 지음, 정태섭 옮김
한국과 일본에 관한 이야기는 그것이 역사적인 이야기든, 정치적은 이야기든 늘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선상에 있는데 일본인 서울 특파원이 본 한국과 일본의 한일 관계 리포트라는 표지가 눈에 띄었던 <한국과 일본은 왜?>
일본에 대한 입장 차이는 보수와 진보의 정치적 초점이 어디에 향해 있느냐에 따라 강경한 방법으로 표현되곤 하는데 한창 한국과 일본을 뜨겁게 달구었던 <반일 종족주의>나 그에 대한 반박을 이야기했던 다수 책들과 다르게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정치 동향을 옆에서 살펴봤던 일본인이 본 시선은 어떤지 궁금했다.
아무래도 일본인이기 때문에 우려되는 글들이 실려 있지 않을까 싶었던 마음은 그저 기우였을 만큼 '반일 종족주의'로 비롯된 현상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 다소 선동적인 문구들의 탄생은 그것을 어느 집단과 이분법적인 정치편향에 치우쳐 대립되었던 날선 글들이 어디서 기인하는 것이며 정작 반일감정에 일본인들의 동원되는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고 있다.
보수와 진보 그 어느 편에 서지 않고 중립에서 지금 일어나는 현상과 반일 종족주의에 실린 친일행적의 길을 걸었던 인물들이 사실은 친일이라는 타이틀과는 먼 정책을 실시했었다는 이야기를 들며 그저 이런 현상은 한국의 정치 성향 조장에 일본인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현상에 대한 일본인들의 입장은 그저 당혹스럽다는 이야기는 이것과 저것 사이의 그 어떤 것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는 이야기였다.
'문재인 정권은 반일인가'라는 1부를 지나 옛 한국 시절의 선입견을 깨지 못한 중장년층과 최근 한류에 편승한 젊은 세대가 느끼는 한국 이미지와 일본이 보는 한국의 통일관, 그럼에도 일본과 한국은 사이좋게 지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끝맺음한다.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이야기들은 우리가 안다고 생각했던 것이 과연 그것으로 정의 내릴 수 있을 만큼 확신할 수 있는 것인가라는 고민을 던져주며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일본인의 관점과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켰던 헤이트 스피치 등은 어쩌면 그렇게 믿고 싶어 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존에 읽었던 책들과 다르게 중립적인 입장에서 일본인들을 대변하고 한국의 모순들을 지적하고 있어 어느 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외면하고 싶었던 모습들을 바로 보게 해주는 글이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