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체를 줍는 이유 - 자연을 줍는 사람들의 유쾌한 이야기
모리구치 미츠루 지음, 박소연 옮김 / 숲의전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의전설 / 우리가 사체를 줍는 이유 / 모리구치 미쓰루 글. 그림

평소 법의학과 관련된 이야기에 흥미를 느끼기에 '사체'란 단어에 시선이 꽂혔던 <우리가 사체를 줍는 이유>는 어떻게 보면 제목이 꽤 자극적으로 다가올 수도 있을 듯하다. 더군다나 책 표지에 '해부할까요?', '끓여 먹을까요?'란 문구는 그 자체만으로도 공포스럽게 다가오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 말하는 사체는 숲속, 학교 인근에 죽어있는 동물의 사체를 살펴보는 생물 학도들의 이야기와 다양한 생물들, 식물들의 특징을 담고 있다.

<우리가 사체를 줍는 이유>를 읽으려는 독자는 일단 누군가의 리뷰를 읽거나 책을 한번 훑어보고 약간의 마음가짐을 한 후에 읽어볼 것을 권한다. 첫 장을 들추자마자 소의 탯줄, 그것도 냄새가 많이 나는 소의 탯줄을 보내온 제자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게 뭐?'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평소 비위가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데다 상상력이 지나치게 풍부한 독자라면 연이어 등장할 이야기에 곤란함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하튼 비위라면 약하지 않은 나조차도 상세하게 그려진 두더지나 일본 뒤쥐, 너구리 사체나 너구리 해부 장면이 그려진, 심지어 너구리 사체에서 꺼낸 장기를 들고 웃으며 사진까지 찍고 있는 이들의 모습은 가히 충격적이기까지 해서 뭔가 자연에 대한 심오함과 산업혁명으로 시작된 편리함이 생태계를 어떻게 파괴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상상했던 나로서는 생각지도 못한 감정을 끌어낼 수밖에 없었다.

그런 일반인들이 익숙히 끌어올릴 수 있는 감정과 상반되게 이 책을 쓴 저자와 제자들의 사체 탐닉은 정열적이다 못해 오타쿠스러운 면도 느껴지는데 그만큼 죽은 동물의 사체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도출해내기 위한 그들의 노력엔 고개가 절로 끄덕여질 수밖에 없었다.

숲속에 위치한 학교의 장점이 많은 동물을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었고 죽은 동물들의 사체를 통해 동물들이 많이 죽는 계절이 의미하는 것과 해부를 통해 즐겨먹는 먹이 등을 알 수 있다. 그런 동물들의 사체는 저자의 세밀한 스케치가 덧붙여져 있어 보고 싶지 않아도 볼 수밖에 없는데 어찌나 자세히 그렸는지 너무 생생하게 다가와 이따금씩 소름이 돋곤 했다.

수의사나 평소 동물에 관심이 있던 아이라면 동물 사체를 주워와 어떻게 처리하고 벼룩이나 진드기가 있을 때는 어떻게 대처하며 해부를 하기 위해서는 냉동시키거나 며칠씩 푹 끓여야 한다는 것, 그렇게 동물 골격 제작까지, 지금껏 어디서도 접할 수 없었던 이야기를 생생하게 볼 수 있어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