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예측 교과서 - 위성사진과 일기도로 날씨를 예측하는 폭우.태풍.폭염 기후 변화 메커니즘 해설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후루카와 다케히코 & 오키 하야토 지음, 신찬 옮김 / 보누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누스 / 기상 예측 교과서 / 후루카와 다케히코. 오키 하야토 지음

최근 오락가락하는 기상예보로 사람들의 신뢰를 급격히 잃은 기상청.

어마어마한 슈퍼컴퓨터를 자랑하면서도 왜 날씨를 제대로 맞추지 못할까란 생각은 비단 나만 했던 것은 아닐 것 같다.

비 예보가 있어 출근할 때 우산을 챙겼지만 해가 쨍쨍하여 굳이 챙겨간 우산이 번거롭긴 해도 비 예보가 없었는데 갑자기 내린 비로 인해 순식간에 비를 맞는 것보다야 낫겠지만 유독 이런 경험을 자주 겪게 되는 것은 기상청도 예측하지 못하는 기상이변 때문인 걸까란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슈퍼컴퓨터도 맞추지 못하는 지구의 대재앙이 점점 시작되고 있는 것인가란 생각과 함께 왜 이렇게 잦은 오류를 빚는 것일까란 궁금증도 들게 되는 기상 예보는 얼마 전 짧은 기간 안에 몰아친 태풍으로 인해 기상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게 됐던 것 같다.

<기상 예측 교과서>는 우리나라의 기상학자가 아닌 일본의 기상학자가 쓴 책이므로 아무래도 우리나라 실정과는 조금은 다르게 다가온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책은 기본기를 충실히 다지고 있기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기상학이란 분야를 얼마나 쉽고 상세하게 알려주기 위해 저자가 노력했는가를 엿볼 수 있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을 짚어가며 다시 읽어도 다소 무리가 있는 부분이 아예 없지는 않았지만 최대한 독자들을 배려한 설명이 돋보여 더디더라도 천천히 읽어나갈 수 있었다.

구름과 비, 기온, 바람, 저기압과 고기압 등 전선, 태풍, 일기예보의 구조라는 큰 주제로 무거운 구름이 하강하지 않고 어떻게 계속 떠 있을 수 있는지, 수증기가 어떻게 구름 입자로 변하는지와 구름의 종류, 구름 입자에서 비 입자로 가기 위해 필요한 것과 갑자기 쏟아지는 호우가 언제 발생하는지, 위도와 계절에 따른 기온 변화와 지상과 상공의 바람이 어떻게 부는지와 대륙과 바다가 만드는 계절풍, 그리고 태풍이 오거나 급격히 추워질 때 일기 예보에서 자주 듣게 되는 저기압과 고기압의 생성과 소멸, 최근 관심사였던 태풍이 어떻게 발생하고 성장하며 발달하는지, 의외의 궁금증으로 다가온 태풍은 왜 일본으로 가는가? 란 주제도 흥미롭게 다가와 짜임새 있는 기상예보를 훑어볼 수 있다.

최근 산업보건을 배우면서 환경 문제로 대두되는 기상이변 등을 공부하며 산 정상과 바다의 공기압이 선생님 설명을 들어도 너무 헷갈리고 이해가 안 돼서 그냥 외웠던 기억이 있었는데 초입부에 등장한 공기 기둥의 무게 설명은 이해가 되지 않아 어지간히 애를 먹였던 공기압의 원리를 너무도 쉽게 이해시켜줘서 아무래도 재미있게 시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숫자와 전문용어도 내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 있고 무엇보다 아이들이 봐도 이해하기 쉽게 큼직한 그림을 많이 실어 어렵게만 느껴졌던 기후 변화에 대한 내용을 어렵지만은 않게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