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과 친일의 역사 따라 현충원 한 바퀴 - 친일파 김백일부터 광복군까지
김종훈 지음 / 이케이북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케이북 / 항일과 친일의 역사 따라 현충원 한 바퀴 / 김종훈 지음

서울 동작동에 위치한 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서울현충원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면적의 국립대전현충원, 수유리 4.19국립 묘지와 서울 효창공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항일과 친일의 역사 따라 현충원 한 바퀴>는 아픈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오랜 일제 치하의 세월을 보내며 광복을 맞이했지만 미 군정으로 인해 친일파들에 대한 제대로 된 척결이 되지 않고 오히려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친일파들이 대거 미 군정 아래로 편입되면서 친일파들에겐 구사일생의 기회를 맞이했던 안타까운 역사 앞에서는 늘 가슴을 치며 울분을 토해낼 수밖에 없게 되는 것 같다.

같은 조선인으로 일본인의 편에 서서 조선인들을 응징했던 친일파들은 광복을 맞은 후 경찰이나 군인으로 탈바꿈한 후 대한민국을 좌지우지하는 인물들로 거듭났으니 책을 읽다 보면 팔이 안으로 굽는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극명하게 다가온다.

이 책은 이런 역사적 흐름과 현충원 안에 잠든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의열단, 광복군 출신 애국지사들과 함께 묻힌 친일파들의 이야기를 함께 소개하고 있다. 애석함과 아이러니라는 감정을 모두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 자리 배치를 접하게 된다면 절로 한숨이 터져 나오게 되는데 알고는 있었지만 애국지사가 묻힌 묘 윗부분을 친일파들이 점령하고 있다는 사실이 거짓말처럼 믿기지 않을 뿐이다.

현행 상훈법 제8조로 "서훈 공적이 거짓으로 밝혀진 경우나 국가 안전에 관한 죄를 범해 형을 받거나 적대 지역으로 도피한 경우, 관세법, 조세범 처벌법 등에 규정된 죄를 범하여 사형,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 금고형을 받은 경우에만 서훈을 취소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국립묘지법 제5조 1항에 의거해 "장성급 장교 또는 20년 이상 군에 복무한 사람 중 전역, 퇴역 또는 면역된 후 사망한 사람"이라는 조건 때문에 친일파 인명사전에 오른 후 십 년이 지났음에도 아무런 조치 없이 평안히 묻혀 있다는 게 사실 좀 납득이 안 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는 4,400여 명의 친일파 명단을 발표했는데 이 중 국립서울현충원에 35명, 대전현충원에 33명이 아직도 아무런 조치 없이 잠들어 있다. 책에서는 현충원에 잠들어 있는 친일파들에 대한 세세한 내력과 반민 규명위가 발표한 1,000여 명의 국가공인 친일파에는 속하지 않았지만 '비공인 친일파'에 속하는 박정희, 정일권, 안익태, 채병덕, 임충식이 함께 소개되어 있다.

어제까지는 항일무장세력을 토벌하던 일본군에서 광복 후 여순사건 계엄사령관으로 변신한 김백일이나 일본군이었다가 야전포병 사령관으로 활동하며 '한국 포병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신응균, 3대가 친일파로 활동했지만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까지 올랐던 이종찬 등의 이야기를 내리읽다 보면 위기를 기회로 삼는 이들의 전술과 홀로 감행했다면 이런 지위까지 얻지 못했을 이들의 승승장구가 같은 친일행적을 했던 끼리끼리로 인해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었던 시대를 엿보며 묵직해진 명치를 쓰다듬을 수밖에 없게 된다.

화딱지 나는 이들의 행적을 지나 신규식이나 이상룡, 지청천 등 애국지사들의 이야기도 함께 실려 있는데 어쨌든 이 책의 팁은 저자가 알려준 동선대로 현충원을 돌아보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행사가 있을 때 티브이에 비치는 현충원 모습만 접하고 실제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으나 저자가 알려준 동선대로 현충원을 돌아보다 보면 말없이 잠들어 계실 애국선열들의 목소리가 가슴 절절히 들려오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