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 속 범죄코드를 찾아라 - 세상의 모든 범죄는 영화 한 편에 다 들어 있다
이윤호 지음, 박진숙 그림 / 도도(도서출판) / 2020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807/pimg_7355521372633233.jpg)
도도 / 영화 속 범죄 코드를 찾아라 / 이윤호 글. 박진숙 그림
소설도 그렇지만 스크린을 통해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심리를 파악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 나로서는 특히 범죄를 저지를 때의 주인공 내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중점을 두고 보는 편이다. 비단 나뿐만이 아닌 관객이라면 '왜 저런 범죄를 저지를까? 무엇이 주인공으로 하여금 동요를 일으키게 했을까?'란 궁금증을 갖게 할 텐데 애초에 감독이 의도한 바와 달리 비평가나 일반인들의 다양한 견해를 듣고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를 느낄 때 더 큰 흥미로움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현실보다 더 사실적일 수도, 반대로 말도 안 되는 내용에 딴지를 걸게도 되는 것이 영화 속 범죄 장면인데 대한민국 최고 권위자인 범죄학자가 바라본 영화 속 범죄의 양상은 어떠할까? 평소 범죄 심리나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영화 속 범죄가 전문가의 눈에는 어떻게 비칠지 꽤나 궁금했을 텐데 그런 궁금증들을 <영화 속 범죄 코드를 찾아라>를 통해 해소시킬 수 있었다.
다양한 인간 군상만큼이나 범죄 또한 기상천외한 내용들을 하루가 멀다 하고 접하게 되는데 일반인들은 감히 생각해보지도 못한 천재적인 발상 앞에 대개 '저런 머리를 범죄에 쓰지 말고 좋은 일에 쓰지..'라며 혀를 찾곤 하지만 범죄의 유형별로 천재적이게도, 악랄한 반사회적인 인물로도 그려지는 것이 범죄인만큼 정형화된 틀에서 그들을 해석한다는 것 자체가 어쩌면 모순일지도 모르겠다.
예전엔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 같은 인물들은 어려서부터 가까운 사람들에게 학대를 당했기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나름 진화한 모습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하곤 했지만 최근 들어 학대의 정황도 찾을 수 없고 그저 나와 같은 보통 사람임에도 아무런 죄책감 없이 사람을 잔인하게 죽이고 이후에 어떠한 반성도 하지 않는 모습을 통해 어느 정도 정형화된 틀도 깨져버린 듯하다.
이 책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모든 사기의 종류를 총망라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텐데 아직 자아가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이 저지르는 잔인한 살인을 담은 '황무지'나 '스프링 브레이커스'를 통해 미성년자의 살인을 통념상 사회적인 시선과 미성년자라는 이유가 갱생 가능성의 여지가 있기에 형량 감량으로 이어지는 상반된 견해는 어느 나라든 간에 여전히 뜨거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그 외에도 위작과 위조의 이야기를 담은 '거짓의 F'나 정신분열이란 주제를 담은 '양들의 침묵', 억울한 누명을 쓰고 감옥에서 20년의 세월을 보낸 후 탈출을 감행해 자유를 얻은 '쇼생크 탈출'을 통해 사회 부조리와 비리, 권력이 인간의 목숨보다 높게 매겨지는 모습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저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범죄 유형 분석만을 담은 것이 아니라 영화 속 범죄가 현실에서는 어떻게 비칠 수 있고 영화 속에서는 미처 다 보이지 않은 주인공들의 심리에 대한 해석의 필요성과 무엇보다 범죄를 통해 그것을 받아들이는 언론이나 일반인, 사회적 제도의 개선 방안 등을 담고 있어 폭넓은 사고를 이끌고 있다는 점도 꽤 만족스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