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 속에 아픈 사람들 - 의학의 관점으로 본 문학
김애양 지음 / 재남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남 / 명작 속에 아픈 사람들 / 김애양 지음

언젠가 명화 속 인물의 모습을 통해 병 증세를 짚어보는 책을 본 적이 있는데 의학 쪽에 직업을 두고 있거나 관심 분야라 그림 속 인물의 모습만으로도 무슨 병을 앓고 있는지 유추해낼 수 있다는 게 신선하고 흥미로웠던 기억이 있다.

<명작 속에 아픈 사람들>도 전에 봤던 명화 책과 맥락을 같이 하지만 그보다 더 궁금증이 일었던 건 아무래도 명화보다는 명작에 관심이 많고 나이 듬에 따라 늘어갈 수밖에 없는 신체에 대한 궁금증과 걱정 등이 겹쳐졌기 때문일 텐데 평소 이런 호기심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꽤 재미있게 읽을만한 이야기들이 실려 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명작을 통해 39가지라는 꽤 많은 질병을 접할 수 있는데 각기병, 췌장암, 위암, 전립선 비대증, 포피리아증, 알츠하이머병, 충수염, 뇌졸중 등 가짓수만큼이나 다양한 병명이 명작 속에 스며들어 있다는 사실은 놀라움 그 자체로 다가온다. 무대도 유럽부터 아시아 등 가리지 않고 등장하는데 명작에 대한 짤막한 내용과 소설 속 등장인물이 앓았던 병명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물론 명작을 쓴 저자의 약력도 소개되어 있어 다양한 즐거움을 함께 누릴 수 있다.

그 속에서도 레프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고등 법원 판사인 이반 일리치가 통증을 느끼고 죽기까지 6개월 동안 고통에 몸부림치는 자신과 달리 그의 앞에서 걱정이라곤 하지 않는 가족들 때문에 더욱 외롭고 힘겨워하는 이반의 모습은 현대 사회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아 더 씁쓸하게 다가온다. 죽음을 앞둔 인간이 겪는 부정, 분노, 협상, 우울, 수용이란 5가지 감정을 이반은 그대로 보여주며 가족을 위해 일에만 매달렸던 자신의 지난날과 가족에게 소홀했던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면서도 차마 그것을 입으로 담아내지 못한 마지막 모습에서 아무도 없는 독방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는 인간의 모습과 또 다른 진한 고독감을 느낄 수 있었다.

전립선 비대증을 담은 마리오 바르사스 요사의 <염소의 축제>는 트루히요 독재 정권 시절 도미니카 공화국의 상원 의원인 아구스틴 카브랄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내쳐지면서 자신의 14살 딸인 우라니아를 트루히요에게 바치며 돌파구를 모색하는데 70세의 트루히요는 우라니아를 상대로 그동안 자신만만해했던 자신의 성 기능을 만족스럽게 펼치지 못한다. 어쨌든 자신의 신체에 분노하는 트루히요와 그 상황에 충격을 받은 우라니아는 아버지를 떠나 오랜 시간 타향에 머물다 귀국하게 되고 그동안 독재의 부당함에 짓눌렸던 사람들이 대항하는 이야기들 속에 유독 전립선 비대증이 눈에 들어왔던 건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사람의 일화가 생각나서였을까, 독재와 수많은 여성, 심지어 부하의 아내까지 건드리는 트루히요의 몰지각한 성관념은 전립선 비대증이란 병을 가져왔고 결국 찔끔찔끔 오줌을 지리게 되는 상황이 유독 가까운 우리나라 누군가와 겹쳐져 보였던 것은 나만의 생각인 건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