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어서 끝까지 읽는 한중일 동물 오디세이
박승규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행나무 / 재밌어서 끝가지 읽는 한중일 동물 오디세이 / 박승규 지음

단군신화나 삼국사, 멀리는 그리스로마 신화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자리잡은 신화 속 인물은 동물과 관련이 많다. 왜 하필 동물일까? 어릴적엔 알에서 사람이 어떻게 나올 수 있다는건지, 위대한 인물은 탄생부터가 비범한건가?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궁금증에 잠못 이루던 날들이 많았더랬다. 자라면서 부족을 상징하는 동물이 신화속에 녹아들었다는 것을 알고 생각의 폭이 넓어지는 즐거움을 느꼈던 것 같다.

평소 역사에 관심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역사에 관심이 있는 어린아이를 둔 집이라면 <재밌어서 끝까지 읽는 한중일 동물 오디세이>는 잠을 못이룰 정도로 책장 넘기는 재미에 푹 빠져들만한 책이다.

'1부 태초에 동물이 있었다 '편에서는 우리나라 단군신화에서 익숙한 곰에 대해 시작한다. 삼국시대 백주 공주 '곰나루'에 얽힌 곰의 전설과 일본 '아이누족'이 곰을 숭배한다는 사실과 멀리 고대 북유럽의 곰 토템을 그린 '13번째 전사'를 통해 오랜 옛날 인간에게 있어 곰이란 어떤 존재인지를 들여다볼 수 있다.

이어 삼족오 신화를 통한 철의 역사를 되짚는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서 김수로왕이 세운 금관가야를 빼앗기 위해 석탈해가 쳐들어오면서 둘의 둔갑술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먼저 석탈해가 매로, 수로왕이 독수리로 변신하는 이야기는 매가 보통의 무쇠, 하늘의 제왕인 독수리는 단철공법으로 철을 다루는 기술을 드러내 철을 다루는 기술을 쇠를 새에 대입한 이야기로 꽤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리고 경복궁이나 국회의사당 앞에 위치하고 있어 무언가를 경계하는 임무를 맡은듯해 보이는 상상의 동물 해태는 무언가를 지키는 임무가 아니라 권선징악과 시시비비를 판단하는 상상의 동물이라고하니 지금까지 오해하고 있었던 것을 푸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2부 한중일 전쟁에 얽혀든 동물들'편에서는 인간의 전쟁사에서 동원된 동물의 이야기 뒤로 전쟁으로 인해 동물원 안에 가둬진 동물들이 집단 떼죽음을 당해야했던 이야기는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기에 그만큼 충격적이었던 것 같다.

1945년 패전의 그림자가 드리워졌던 일본은 사람을 해칠만한 창경원 동물들을 죽이라는 명이 내려졌다고 한다. 한국 표범을 비롯해 호랑이, 코끼리, 악어 등 21종의 동물들이 독살되었으며 독이 든 먹이를 먹지 않았던 코끼리는 결국 아사시킬 수 밖에 없었는데 재주를 부리면 먹이를 줄까 싶어 쇠약해진 몸으로 사육사가 지나갈 때마다 재주를 부렸다고하니 인간의 잔학함이 그저 놀라울 뿐이다.

이어 조선의 호랑이를 먹고 많은 나이에 아들을 낳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호랑이 이야기와 마오쩌둥이 벼이삭을 쪼아먹는 참새를 보고 박멸 명령을 내린 결과 중국내 기근으로 이어져 4천여만 명이 죽어 퇴진 압박을 받은 이야기, 돌고래가 폭탄을 싣고 자살폭탄으로 활약하는 끔찍한 이야기와 6.25때 경마장에 있던 말이 한국전쟁때 가파른 산등성이를 탄핵을 지고 날라 진급은 물론 동상까지 세워졌던 '레크레스' 이야기 등 흥미롭지만 가슴 아픈 이야기등을 살펴볼 수 있다.

'3부 한중일을 사로잡은 동물의 왕국'편은 당 현종과 양귀비, 우리나라의 숙명공주와 숙종, 영국의 프레디 머큐리, 찰스디킨스와 헤밍웨이를 통해 고양이를 향한 냥덕후들의 흥미롭고 재미있는 일화와 매사냥에 열을 올렸던 조선시대 모습들을 살펴볼 수 있다.

4부에 실린 백두산 설인 예티와 한라산의 식인 거인 이야기를 통해 설문대할망 이야기와 실록에 실린 괴수들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다가와졌다.

처음엔 그저 호기심이 동해 펼쳤던 책이지만 읽다보면 다양하고 폭넓은 전설, 일화, 기록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이야기에 정신줄이 빠질 지경이다. 그 속엔 인간이 좀 더 진화하기 오래 전 동물을 숭상했던 모습에서부터 그저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에 동물원의 눈요기거리고 전락한 동물들 모습까지 다양한 모습을 접할 수 있는데 평소 애완동물을 기를 정도로 동물을 사랑해마지 않는 사람은 아니지만 전쟁에 동원되고 동물원에 갇혀 정신이상을 보이는 동물들이나 인간에게 길들여지는 동물들의 모습을 썩 좋아하지 않기에 인간과 동물이 어디까지 시선을 같이하며 살아가야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됐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