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장의 바닥
앤디 앤드루스 지음, 김은경 옮김 / 홍익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홍익출판사 / 수영장의 바닥 / 앤디 앤드루스 지음


우리는 매일같이 그렇게 우리에게 익숙한 기존의 방식대로

게임에 임했다. 그렇게 하면 아론에게 패배한다는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왜 그랬을까?

답은, 우리 모두가 그렇게 하는 것에 길들여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 알고 있는 익숙한 방식에 철저히 구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른 기술을 찾을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것이다.

자신이 인지하고 믿고 있는 사실에 대한 확신이 오히려

스스로를 일정한 틀에 박혀서 똑같은 방식으로만

움직이는 로봇으로 변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수영장 물속에서 건져 올린 삶의 지혜들'이란 문구를 보고 수영장 물속에서 삶의 지혜를 도대체 어떻게 찾겠다는거지?란 생각이 들었다. 소설의 제목같아 당최 감조차 오지 않는 책 제목을 보면서 도대체 무슨 연관이 있을까 싶었는데 <수영장의 바닥>은 앤디 앤드루스가 유년시절 겪었던 체험을 통해 일상적으로 매여있던 관념을 벗어던질 때 인생에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유년시절 여름만 되면 수영장에서 살다시피했던 앤디와 친구들은 수영장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놀이를 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중 친구들이 팔로 빙 둘러 원을 만들면 아래에서 점프해 제일 높이 오른 사람이 이기는 돌핀게임을 고안해낸다. 하지만 이 게임에서 매번 이긴 것은 같이 놀던 친구들보다 머리 하나가 더 컸던 아론이었고 신체적 유리한 점 때문에 그 누구도 아론을 이기지 못한 돌핀 게임을 매일매일하던 어느 날 케빈은 그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게임방법으로 돌핀게임에 임한다. 그전까진 잠겨있는 상태에서 점프해 누가 더 높이 올라가는지를 겨뤘던 돌핀게임에서 케빈은 수영장의 바닥으로 내려가 도움닫기를 한 후 점프해 아론보다 45센티나 더 높이 점프했고 앤디는 친구들 중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고 시도할 생각도 못했던 케빈의 그 모습을 보고 생각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나는 <수영장의 바닥>이란 책을 읽으면서 박용후의 '관점을 디자인하라'의 책 내용이 떠올랐다. 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엔 우리가 시도해본 것이 그리 많지 않으며 최선을 다했다기엔 우리는 너무 관념에 사로잡힌채로 달려왔기에 정작 내가 변하려기보다 상황이 변하기만을 기다렸다는 이야기는 그동안 뭔가 안되면 운이 나빴거나 상황이 안좋았던 탓으로 돌렸던 내 모습이 떠올라 여러모로 반성하게 됐다.

내 삶을 변화시킬 수영장의 바닥에 대해선 진지한 고민없이 그저 주어진 현실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수 많은 사람들에게 '나는 안돼'란 인식과 현재에 안주하며 사는 삶이 얼마나 위험하고 재미없는 삶인지에 대해 앤디 앤드루스는 '비머네스크' 법칙과 독성이 있어 유럽인들에게 멸시 받았던 토마토의 이야기, 상상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유명한 신문사에서 해고됐던 월트 디즈니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일상 생활속에 얼마나 많은 상상력을 일반화된 잣대안에 가둬놓는지 엿볼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내내 와닿았던 이유는 나에게만 해당된다는 인식보다 내 아이에게 수영장의 바닥을 일깨워주기 위한 부모로서의 행동방식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서 매 이야기마다 집중해서 읽게 되었고 특히 앤디가 어머니에게 받았던 깨달음과 앤디가 자녀에게 남겨주기 위한 일화들은 내가 아이에게 수영장의 수면만을 보라고 했던 것은 아니었나 싶어 깨달음과 반성이 교차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