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 삶 - 사유와 의지
한나 아렌트 지음, 홍원표 옮김 / 푸른숲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과 관련된 책을 접할 때마다 한나 아렌트의 인용 문구가 많이 등장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인용 문구조차도 쉽지 않다는 느낌에 살면서 언젠가는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강했지만 반면에 현대인들에게 꽤 어렵게 다가오는 '사유'란 명제 때문에 늘 문턱에서 망설여졌던게 사실이다.

독일에서 태어난 유대인 철학사상가 '한나 아렌트', 수 많은 책을 남기며 정치철학의 한 획을 그은 그녀는 유대인 학살에 관여했던 '아돌프 아이히만'의 무사유가 악의 원인이라는 것을 목도하게되면서 <정신의 삶>이란 책을 집필하게 된다. 이 책을 이끄는 주제인 '사유', '의지', '판단'이 인간의 삶에 중요하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알려주기 위함이 집필하는 원동력이 되었지만 책을 읽다보면 끊임없는 사유를 통해 이 세 단어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해나가는 과정은 독자 이전에 깊은 통찰에 흠뻑 취할 수밖에 없었던 그녀만의 지적 호기심이 아니었을까 싶다.

<정신의 삶>은 '우리의 삶에서 정신의 삶이 왜 중요한지를 조명'하고자하는 그녀의 끊임없는 사유를 마주하게 되는데 그 사유속에는 고대 그리스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철학 사상을 연구한 내용들이 들어있어 다소 어렵게 다가오기도하지만 읽으면서 그 의미를 곱씹어보면 몇줄 안되는 글 속에 꽤 강력한 통찰과 울림이 있다는 것이 느껴져 그들의 끊임없는 사유로 탄생한 이 말들 앞에 괜시리 숙연해지기도한다.

'정신의 삶'에서 사유, 의지, 판단을 중요시했던 것은 우리의 근본적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철학을 직업으로 삼는 이들의 몫으로 치부해버린 일반인들의 보편적 생각으로 인해 사유, 의지, 판단이 나와 다르지 않은 그들만의 삶에서 추구해야할 특별한 것이 아니라 당연히 내 자신의 삶을 이해하는 과정의 일부라는 인식을 주기 위해 어쩌면 그녀는 남다른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보면 '왜 이렇게까지?'라는 생각이 들수도 있는 이런 물음들은 1,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종족의 우월감에 젖이 있던 소수의 미치광이들로 인해 수 많은 유대인이 학살되었고 그런 광적인 시대를 살았기에 다시는 인류에 비극적인 학살이 자행되지 않아야한다는 신념 또한 있었을지 모르겠다.

현대를 살아가며 점점 퇴행하는 것이 사유란 개념이 아닐까 싶은데 한나 아렌트가 언급했던 사유의 퇴행은 도미노처럼 우리의 의지와 판단까지 흐려 같은 일들을 반복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최근에 한국에 일어나는 말도 안되는 일들을 떠올려보면 한나 아렌트가 <정신의 삶>에서 주장하는 사유, 의지, 판단이 우리의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 작용을 하는지 깨닫게 된다.

정치철학이라는 부담스러운 분야에 그녀의 명성만 믿고 덥석 책을 받아들었지만 생각지도 못한 벽돌책이라 걱정만 한아름 안고 시작했지만 어려워서 난해하게만 느껴지지 않게, 최대한 일반인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번역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아 징검다리를 건너듯 조금씩 안도하며 읽게 되었던 것 같다. 그럼에도 여전히 나에게는 거의 이해되지 못한 느낌이 있어 살면서 이 책은 몇번을 읽고 또 읽어봐야할 숙제같은 책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