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3 : 세종·문종·단종 -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조선왕조실록 3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산초당 / 조선왕조실록 3.세종,문종,단종 / 이덕일 지음


백성을 사랑한 임금 세종,

그 어떤 임금보다 애민 정신이 뛰어났던 왕으로 태평성대를 이루며 한글 창제는 물론 신분을 막론한 인재 등용을 했고 노비에게 출산 휴가를 주었던 인간적인 왕이라고 알려진 세종의 또 다른 면을 볼 수 있었던 이덕일 소장의 <조선왕조실록>

재야사학의 길을 묵묵히 걷고 있는 이덕일 소장님의 조선왕조실록은 3권을 시작으로 처음 만나게 되었다. 학창시절 박영규의 조선왕조실록을 읽어는 보았지만 곁들여진 이야기보다는 실록에 쓰여진 이야기가 중심이 되어 쓰여져있었던 탓에 읽긴 읽었으나 크게 관심이 가지지 못해 다소 딱딱하다는 인식이 있었는데 평소 이덕일 소장님의 책을 챙겨보았음에도 방대한 양의 시작을 알리는 조선왕조실록은 좀처럼 쉽게 손에 잡을 수 없었다. 뒤늦게 기회가 되어 읽기 시작한 조선왕조실록은 역시 이덕일이란 이름이 무색하지 않게 평소 알고 있던 왕들의 다른 모습을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다.

오래 세월 식민사학의 부정적인 면을 학습했던 탓에 드넓은 대륙을 호령했던 삼국시대를 지나 고려,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 나도 모르게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되는데 오랜 세월 한 국가를 고수했음에도 전란과 내란 등, 말년의 나라 운명이 지독히도 고통스러웠던 탓에 찬란했던 역사보다는 나라를 버리고 도망간 임금과 선비, 여러번의 전란을 통해 유린된 국토와 백성들의 모습만 기억에 선명한 것은 아무래도 잘못된 것임은 맞는 것 같다. 식민사학으로부터 시작된 역사인식이 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훼손하고 뼛속 깊이 암울함만을 새긴다면 역사를 지식으로 새기기전에 역사를 마주하는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이덕일 소장님의 말은 아주 중요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평소 이덕일 소장님의 책을 읽었던 독자라면 알 수 있을 디테일한 역사 내용은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하는데 사대부와 관련된 이야기가 그것으로 다른 책에서는 살짝씩만 언급되었거나 크게 언급되지 않았던 이야기였기에 애민 정신이 투철하다고 알려진 세종의 처세와 견주었을 때 조금은 배신감마저 들게되는 사대부를 위한 정책에 어리둥절하기까지했다. 철저히 사대부 계급에 기인하였고 그러했기에 계급적 이익에 철저했던 주자의 성리학은 그들이 믿고 살아가야 할 단 하나의 학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더불어 세종의 신분 또한 사대부적인 관점에서 보고 이해할 수 밖에 없었음을 본다고 감안해도 '수령고소금지법'이란 악법을 탄생시킨 이유는 좀처럼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역모가 아닌 이상 백성이 벼슬아치를 고소하면 되래 백성이 장을 맞거나 유배를 가야하는 중형에 처한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진 세종의 애민 정신에 반하는 내용이라 가히 충격적이기까지하다.

오랜 세월 세자 자리에 있었던 양녕이 내쳐지고 왕이 되었지만 세종은 아버지인 태종을 너무나 잘 알았기에 태종의 생신잔치에서 무릎걸음으로 아버지에게 술잔을 받을 정도로 영민했고 왕의 자리에 있는 동안에도 양녕을 내세우는 무리로부터 자신의 안위를 지키는 것은 사대부뿐이란 것을 알아 백성들은 감히 신고도 할 수 없게 만든 '수령고소금지법'이 탄생한 것을 보면 모든 것에서 완벽한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왕의 신분에서 백성들의 세세한 삶까지 온전히 살피는 것은 역시 이상적인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중국의 요순 임금에 빗대 태평성대를 이뤄 칭송을 받았던 세종일지라도 실제 요임금이 밭일을하며 사타구니 털이 다 빠질 정도로 고된 삶을 살았던 것에 견주면 어디까지나 백성들의 삶은 먼 얘기에 불과할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

이어 오랜 세자 시절을 겪으며 준비된 왕으로서의 자질과 덕을 갖추었던 문종이 병으로 죽고 어린 아들 단종이 보위에 올라 사극의 재료로 많이 쓰였던 단종 이야기까지 실려 있는데 문종과 단종은 재위 기간이 짧고 상황이 그러했던지라 업적보다는 안타까운 이야기가 많이 보이며 이 책에선 주로 세종의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음을 볼 수 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이야기가 풀어쓰여져 있고 그동안 보지 못했던 내용들도 눈에 띄어 만족도가 높았던 이덕일의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을 아직 만나보지 못한 이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