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 제국의 몰락 - 엘리트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가 집대성한 엘리트 신화의 탄생과 종말
미하엘 하르트만 지음, 이덕임 옮김 / 북라이프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북라이프 / 엘리트 제국의 몰락 / 미하엘 하르트만 지음


<엘리트 제국의 몰락>

이것이 가능한 이야기일까?

제목을 보면서 실현 가능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저 대중들의 염원하는 담은 제목인건가? 싶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엘리트 신화의 탄생과 종말'이라는 부제에 대한 호기심을 꺽을 수 없었다.

종말이 가능하기는 할까?

<엘리트 제국의 몰락>은 그들만이 사는 세상, 엘리트 제국 / 엘리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엘리트는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하는가 / 공익보다는 사익, 엘리트 제국의 규칙 / 신자유주의를 넘어선 정치는 가능한가라는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트는 '가장 뛰어난, 최고의 사람'이라는 다소 애매모호하고 불분명한 정의에서 시작되어 1972년 '하트피엘'이 자신이 집필한 사회학 사전에 '사회적,정치적으로 가장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특징을 지닌 소수'라고 정의하였는데 하트피엘이 정의한 '엘리트'라는 개념이 가장 현실적인 듯 싶다.

엘리트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모르는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이 책을 쓴 '미하엘 하르트만'이 본 독일 사회뿐만이 아닌 미국, 영국, 프랑스 등등 전세계 어디서나 목격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부의 불평등을 조장하며 인도처럼 대놓고 카스트 제도를 고수하지는 않더라도 세계 곳곳에 포진해 있는 보이지 않는 계급 군단을 조장하는, 그들만의 세상인 엘리트 제국, 그에 걸맞게 세계의 경제를 이끌어가는 미국, 프랑스, 영국에서의 명문대 졸업생들과 세계 억만장자 CEO간의 상관관계는 결코 낯설지 않다. 미국의 아이비리그나 영국의 옥스퍼드나 케임브릿지 등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곳들의 연간 학비는 일반 학생이 장학금으로 받는 금액을 충당하고도 사회인의 일년 연봉의 반이나 되는 금액인 것을 따져본다면 경제와 정치가 부와 연관되어 있고 비싼 학비에 대한 부담이 없는 상위 집안 자제들이 명문대를 나올 확률 또한 높으며 재벌들의 대학 기부와도 긴밀한 관계가 있어 어쩌면 너무도 자연스러운 섭리일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세계 부자 CEO들의 출신학교들이 대부분 명문대와 연결되어 있는 것 또한 당여한 이치일터, 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일반인이 상위권으로 올라가는 것 자체가 생각보다 허용될 수 없는 일이기에 이들의 세계는 더욱 견고하고 배타적일 수밖에 없다.

상류층 자제들은 어려서부터 정치나 경제계 인사들과 어울릴 일이 많아 애초에 사회적 출신 자체만으로도 자신의 신분이 보장된 것이나 다름없고 부는 더 많은 부를 얻기 위해 탈세도 서슴치 않지만 그에 대한 사회의 댓가는 공적자금과 빼돌린 세금보다도 못한 과징금일 뿐, 어느 나라나 다르지 않을 이야기에 이제는 분노할 힘도 없음을 느낀다. 그럼에도 돈 많은 대통령의 나는 너희들 편이라는 입발림에 속아 다른 세상을 바라는 대중들의 우매함에 대해서도 화낼 기력이 없다. 자신들의 부와 명예, 집요함으로 나라의 정책을 바꿔버리고 회사가 파산을 맞이하여 월급을 받을 일 없이 쫓겨난 많은 노동자들과는 달리 은행이나 기타 유사 기관에서 연봉 보증을 해 어마어마한 연봉을 받고 여유롭게 생활하는 그들을 개념이 없다며 비난하는 것 자체가 얼마나 어불성설인지 대중과 생각하는 출발선상이 다른 엘리트 집단의 구조를 들여다보면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사회적 불평등에 관심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평소 알던 내용에서 엘리트라는 단어만 조금 색다르게 다가올까, 엘리트 제국이 몰락하는 것을 호기롭게 바란다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가 아닐까, 세계를 이끌어가는 소수의 1%보다 나머지 99%의 대중의 힘을 바랐던 희망적인 전망을 내놓았던 사회학자보다는 어쩌면 결말이 더 나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