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부터 시작하는 월300만원 노후자금 만들기 - 돈 걱정 없는 인생 2막의 연금 자산관리
곽재혁 지음 / 길위의책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212/pimg_7355521372123271.jpg)
길위의책 / 마흔부터 시작하는 월300만원 노후자금 만들기 / 곽재혁 지음
30대 끄트머리였지만 그런대로 아직은 괜찮다는 기운이 강했던 30대를 보내고 40대가 되고보니 달라진 나이 앞자리만큼이나 인생에서도, 생활면에서도 여러가지 조급함과 부담감이 다르게 다가오는 것 같다.
은퇴 후 노후에 대한 설계는커녕 달달이 받는 월급조차 제대로 관리가 안되는 것 같아 40대가 된 올해에는 아무 생각없이 저축만하던 패턴을 벗어나 좀 더 계획적인 실천 방안이 필요하다고 느끼던 차에 만나게 된 <마흔부터 시작하는 월300만원 노후자금 만들기>는 가뭄에 단비와도 같이 반갑게 다가온 책이었다.
노후엔 은퇴한 남편과 함께 등산도 다니고 취미활동도 하며 간간이 여행도 다녔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가지고는 있었지만 그런 생활을 하기 위해 얼만큼의 자금을 운영해야하는지, 중요성은 알지만 눈앞에 산재한 문제들을 처리하느라 매번 미뤄두기만 했었더랬다. 지금 당장 먹고 사는것엔 문제가 없으니까 꽤 오랫동안 미루기만 한 탓에 이 책을 보면서 더이상은 미뤄두면 안된다는 현실감이 들어 열심히 읽게 되었던 것 같다.
고령화에 따른 저성장 때문에 취업도, 창업도 모두 어려운데다 저금리로 인해 가진 돈마저 불려나가기 어려워 자금의 일부는 투자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불려나가야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 먼저 금융/재무 지식을 습득하라고 말한다. 민간연구기관의 조사결과가 다소 높게 나온것을 감안하더라도 노후 생활비로 월 250만~280만원 정도가 필요한데 정기적으로 그 금액으로 생활할 수 있는 준비는 늦어도 40대부터는 해야되고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20년 정도는 직장생활을 해나갈 수 있으므로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라고도 한다. 40대가 노후 자금을 시작하기에 빠른 나이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직장생활을 더 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나이고 30대보다는 사회를 바라보는 폭이 넓으므로 어떻게 보면 적기일 수도 있는데 노후계획이 너무 늦어지면 퇴직금으로 위험부담이 큰 투자에 나섰다 본전도 건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므로 40대가 시작하는 노후자금 만들기로 최적화된 책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이 책엔 50대를 위한 노후자금 만들기도 들어있어 너무 늦었다고 절망할 필요 없이 현명한 자금 운용으로 50대에 시작할 수 있는 노후자금 팁을 엿볼 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되었던 것 같다.
들어도 돌아서면 아리쏭하게만 다가왔던 연금 체계와 3중 연금으로 더욱 효율적인 노후자금 설계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알차게 들어있어 머리 아픈 연금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었던 것 같다.
답답한 마음에 주변 사람들에게 물으면 조금씩 다른 대답들로 혼란스럽고 설계사들은 상품만 들이미는 것 같아 의심스러워 상담 받는 것도 사실 쉽지 않았는데 나와 같은 고민거리를 안고 있었던 사람이라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