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카의 장갑
오가와 이토 지음, 히라사와 마리코 그림, 이윤정 옮김 / 작가정신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작가정신 / 마리카의 장갑 / 오가와 이토 장편소설



마당에는 남성의 수호신인 떡갈나무와 여성의 수호신인 보리수 나무, 고아의 수호신인 사과나무가 심어져 있고 다채로운 색상의 집만큼이나 밝고 긍정적인 사람들이 살아가는 나라 '루프마이제공화국'.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욕심내지 않으며 시기와 질투에 사로잡히지 않은 그들의 소박한 삶이 정겹기만 합니다.

엄지장갑 없이는 추운 겨울을 날 수 없는 '루프마이제공화국', 어느 추운 겨울 할머니와 할아버지, 아빠와 엄마, 세명의 오빠와 마을 사람들의 축복 속에 마리카가 태어나고 가족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으며 마리카는 오빠들과 함께 산과 강을 누비며 무럭무럭 자라게 됩니다.

마리카가 태어난 해 '루프마이제공화국'이란 나라의 틀을 갖추었고 이 곳에는 중요한 규칙이 있는데요. 바로 열두 살이 되면 수공예 시험을 치러야한다는 것이에요. 남자아이는 남자아이에 맞게, 여자아이는 여자아이에 맞게 치러지는 수공에 시험에서 여자아이는 실을 잣고 수를 놓으며 레이스를 달고 엄지장갑을 떠야 합니다. 루프마이제공화국에서는 모두가 예외없이 이 규칙을 따라야하는데 수공예 시험을 완수하면 어엿한 성인으로 인정을 받지만 떨어지게 되면 다른 곳으로 가야하기에 뜨개질보다는 산과 들판으로 뛰어노는 것이 좋은 마리카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어느 덧 열살이 되었고 할머니의 가르침 아래 뜨개질을 배우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뜨개질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마리카, 드디어 열두 살이 되어 수공예 시험전 벼락치기 공부를 했던 마리카는 '보결'이란 단서가 붙긴했지만 합격점을 받게 됩니다.

이윽고 열다 섯이 된 마리카는 그저 묵묵히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야니스'를 좋아하게 되고 풋풋하고 순수한 사랑을 확인하며 결혼하게 됩니다. 결혼 2년만에 둘만의 보금자리를 완성한 마리카와 야니스는 아이들을 많이 낳고 싶어 아이들 방을 크게 짓지만 좀처럼 아이가 생기지 않고 그 대신 자신의 집 앞에 날라온 황새와 주변에 살고 있는 동물들을 가족으로 여기며 살아갑니다. 그렇게 영원할 것 같던 그들의 행복은 얼음제국이 루프마이제공화국을 점령하면서 사랑하는 야니스가 연행되게 되고 오랜 세월 마리카는 야니스를 기다리게되지만 몇년이 흐른 뒤 받은 것은 진흙투성이 장갑 한짝이었습니다.

자신의 모든것을 바쳐 사랑해도 아깝지 않은 남편의 생사를 알 수 없어 고통스럽고 외롭지만 마리카는 야니스가 멀리 하늘나라고 여행을 간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를 사랑하는만큼 더 용기를 내어 오늘 더 크게 웃을 뿐입니다.

 

 

<마리카의 장갑>에서 '루프마이제공화국'의 모티브가 되었던 '라트비아',

이 곳을 여행하며 오가와 이토 작가님이 느낀 것은 일본과 많은 부분이 닮은 것에서 오는 친근감이었는데요. 지리적인 위치 때문에 침략을 받는 등 수난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늘 밝고 활기차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은 매일매일을 내가 쳐논 울타리 속에서 무표정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많은 깨달음을 주는 것 같아 뭉클하게 다가왔습니다.

원하지 않는 시련 앞에서도 굳은 심지를 지킬 수 있었던 원동력은 자신만의 강한 정신력이 아닌, 인간이 가지고 태어난 순수한 모습 그대로가 아니었을까 싶었어요. 뭔가 거창한 것이 아니라서 쉽사리 깨닫지 못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장착하고 있는 인간의 선함에서 오는 강력함이 바로 이런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엄지장갑은 털실로 쓴 편지 같은 것.

좋아하는 마음도 말이나 글 대신 엄지장갑의 색깔이나 무늬로 표현합니다.

그렇게 해서 세상에 단 하나뿐인 '좋아하는 마음'이 형상화되는 것입니다.

마리카만 그런 것이 아니라 루프마이제공화국 사람들은

힘든 때일수록 더 활짝 웃습니다.

운다고 해서 해결되는 일은 없으니까요. 하지만 웃으면

자신보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용기를 줄 수 있습니다.

슬퍼한다고 해서 나아질 것은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