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
톰 말름퀴스트 지음, 김승욱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산책방 / 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 / 톰 말름퀴스트 장편소설



임신 33주인 카린은 며칠 전까지만해도 웃으며 아무렇지 않았지만 갑자기 몸상태가 안좋아져 중환자실로 실려오게 된다. 의사들과 간호사들은 생각보다 좋지 않은 카린의 몸상태를 체크하느라 정신이 없고 카린과 십년동안 함께 산 톰은 정신을 차릴 수 없는 상황에서 중환자실에 누워있는 카린의 몸상태를 의료진들에게 꼼꼼하게 물으며 수첩에 메모하는 모습을 보인다. 잠도 잘 수 없고 뭘 해야할지 모르겠는 상황에서 의료진들은 카린이 급성 백혈병이라고 이야기하지만 톰은 그 상황을 받아들일 수가 없다. 카린의 몸상태는 점점 나빠지고 급기야 뱃속에 태아를 제왕절개 수술을 통해 꺼내야만 카린에게 약물 치료를 할 수 있는 상황에 이르게되고 점점 상태가 나빠지는 카린의 몸상태만큼 병동안에서의 이야기는 긴박하게 돌아간다. 그렇게 그들의 아기 리비아는 제왕절개 수술을 통해 바깥 세상을 보게 되지만 카린은 끝내 숨을 거두게 되고 남겨진 톰과 리비아는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아직 카린의 장례식을 치르지 못한 상황에서 톰은 어머니와 장모님의 도움으로 리비아를 키워나가려하지만 카린과 톰은 결혼을 한 사이가 아니기에 톰과 리비아는 서류상 남남일 뿐이다. 친자식이지만 서류상으로 연결되려면 친자확인을 해야하는 등 복잡한 문제가 남아 어찌하지 못하는 상황, 이 곳 저 곳을 쫓아다니며 자기와 리비아의 관계를 물어봐야하는 톰에게 공무원들의 대답은 하나같이 매뉴얼화된 것 뿐이라 더 가슴을 답답하게 한다.

첫 장면부터 카린의 긴박한 상황과 탄생, 죽음이 차례로 이어지며 숨가쁘게 이어지며 이야기는 숨돌릴 틈 없이 이어진다. 그렇게 카린이 너무도 허무하게 가버리고 톰은 카린과 처음 만났던 날과 카린이 자신이 쓴 시를 읽으며 평을 해주었던 일, 사람들을 만나며 카린이 빛나 보였던 모든 기억들을 떠올리며 카린을 추억하고 가슴 속에 되새긴다. 십년이나 함께 보며 다투기도하고 마주보며 웃기도하였던 시간들, 아무런 준비 없이 훌쩍 떠나버린 카린의 모습을 추억하는 톰은 슬픔 속에서도 담담함을 잃지 않는다. 톰에게 남겨진 리비아가 없었다면 카린의 추억 속에 빠져 폐인의 모습이 되어버렸을지도 모르지만 톰에게는 정신을 차려야만 하는 이유가 되어주는 리비아가 곁에 있다.

카린이 죽은 상황에서도 리비아를 자신의 아이로 떳떳하게 서류상에 남겨 놓을 수 없는 상황들은 '이게 도대체 무슨 상황인거야...'라는 당혹감을 한껏 안겨주고 그러면서도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게 될거라는 희망을 놓지 않고 계속 읽게 되지만 현실은 영화속에서만큼 극적이지 않다는 사실에 절망스러운 기분을 안게 되는 소설 <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

답답하고 눈물날만큼 슬픈 이야기라 처음 책을 편 순간부터 덮는 순간까지 고통이 옭아매는 기분을 한껏 느껴야했던 소설이지만 톰과 리비아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피부로 와닿는 현실감에 대해, 사회 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었는데 삶과 죽음에서 오는 다양한 감정도 꽤 색다르게 다가왔지만 사회 시스템에 대해서는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었던 문제였기에 사회적 제도가 주는 모순점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