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 이덕무 청언소품
정민 지음 / 열림원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림원 /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 정민


스스로 책만 보는 바보라 일컬을 정도로 책을 사랑했던 이덕무,
책을 애지중지 여겼던 정조조차도 그의 책사랑에 감탄했다고하니 간서치라는 호칭은 어쩌면 그가 아니면 어울리지 않을 말일지도 모르겠다.

이덕무에 대해서는 연암 박지원을 공부하며 알게 되었는데 박지원을 비롯해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의 그 시대에 맞지 않는 자유분방함과 호방함이 꽤나 시원하게 다가와 좀더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벼슬에 나갈 수 없는 서자 출신이었던 그는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책을 놓지 않을 정도로 책에 대한 사랑이 대단했던 인물인데 자신의 신분과 가난으로 인해 사람이라면 그러하듯 세상의 부조리함을 담은 원망의 글귀 하나쯤은 만나게 되지 않을까 생각했던 나로서는 모든것을 해탈한 듯한 처연한 그의 글을 보며 이것이 그가 삶을 대하는 철학이 아니었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란 글을 보면 따뜻한 이웃집에선 웃음소리가 들려오는데 내 방 벼루위에까지 눈보라가 부는 매서운 바람 소리에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란 허망한 물음에 다 식은 화로 위로 낙서만 해대며 불평하는 자신의 모습이 추운줄도 모르고 쌔근쌔근 자고 있는 어린 동생을 보며 부끄럽게 느낀다는 글에서는 현실에서 어찌해 볼 수 없는 가난의 슬픔이 뼛속까지 느껴지는 것 같아 서글픔이 느껴졌다.

책 제목인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고 마음으로 생각한 것을 적었다하여 이름 붙인 <이목구심서>에 등장하는 글이다. 초가집이 얼어 붙을 정도로 추운 겨울날 <한서>를 이불삼고 <논어>를 병풍삼아 얼어죽는 고비를 넘기고서 송나라 진도가 추운 날 솜옷이 없어 여름옷을 입고 교사에 참여했다가 한질에 걸려 죽고 한나라 왕장은 장안에서 공부할 때 병에 걸려 앓아누웠으나 이불이 없어 소 등에 엎는 멍석을 덮고 엉엉 울었다는 이야기에 빗대 자기는 그들보다 낫다며 호방하게 이야기하고 있어 가난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그의 낙천적인 성격을 엿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힘들고 구차함을 내색해버리면 자기 자신이 정말 그렇게 하찮은 인간이 되어버릴까 애써 입 밖에 소리내지 못하는 듯한 느낌도 받을 수 있었다.

이덕무의 글은 어떨까?란 궁금증이 있었는데 초반엔 꽤 긍정적인 인물이란 생각이 들 정도로 장자를 지적하는 여유로움까지 느껴졌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가난한 환경에 정신까지 녹아들지 않으려는 그의 결의가 느껴져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공자와 장자의 글을 읽을 때처럼 임팩트가 느껴지지는 않지만 술에 물탄듯 유유자적 생을 이어가려는 듯한 그의 문체를 통해 그가 어떤 인물이었는지 조금은 들여다 볼 수 있었던 글이 아니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