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쓰기에 대한 부담은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동일하다. 학생들은 쓰는 자체에 대해, 학부모는 지도하는 것에 대해, 교사는 확인하고 피드백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다. 그래서 대안으로 나온 것이 두 줄 혹은 세 줄 글쓰기이다.
˝경력 10년이 조금 넘는 선생님이 얼마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겠어?˝
라며 별 기대없이 집어 든 책인데,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후배들에게 권하게 되었다. 저자가 두 아들과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글쓰기에 대해 고민하며 적용한 것이 잘 드러나 있다. 이오덕 선생님은 글쓰기는 삶을 살리는 교육이라 했는데 삶이 녹아든 글쓰기 지도 방법이라 가정에서도 학교에서도 적용하면 큰 기쁨과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저자가 참고한 책 등을 열심히 메모하며 읽었다. 후배에게 넘겨주고 싶어 집중해서, 적용하고 싶어 마음판에 새기며 읽었다.
올 해 글쓰기와 미덕으로 코로나 19때문에 더디게 만난 아이들과 삶을 아름답게 가꿀 것을 부푼 마음으로 기대해본다.
모국어가 공부의 열쇠다-정도상, 언어과학
박정섭-도둑을 잡아라
피카소도 나처럼 글자가 무서웠대(행크 란스켄스, 한울림스페셜,2018)
요시타케 신스케-뭐든 될 수 있어, 스콜라 2017/강경수,고대영,권정생,김영진,박연철,배희나,송언,안녕달,천효정,
아홉살 마음(느낌) 사전-박성우,김효은, 창비
어린이 감정 사전-박선희,윤유리,책읽는 달
감정백과사전-메리호프만,로스 애퀴나스, 책읽는 달
읽으면서 바로 써 먹는 어린이 속담-한날, 파란정원
독서권리장전-다니엘 페다크(소설처럼)
1. 책을 읽지 않을 권리
2. 건너뛰며 읽을 권리
3. 책을 끝까지 읽지 않을 권리
4. 책을 다시 읽을 권리
5. 아무 책이나 읽을 권리
6. 보바리슴(마음대로 상상하며 빠져들 권리)을 누릴 권리
7. 아무데서나 읽을 권리
8. 군데군데 읽을 권리
9. 소리 내서 읽을 권리
10.읽고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
맥스웰 몰츠 성공의 법칙-생각이나 행동이 고정관념을 담당하는 대뇌피질과 불안을 담당하는 대뇌변연계를 거쳐 습관을 관장하는 뇌간까지 가는데 최소한 21일이 걸린다. 습관형성을 하기 위한 시냅스의 연결을 만드는데 21걸림. 새로운 행동 습관을 만드는데는 평균 66일이 걸림
◆초등학교 입학전 글쓰기-자기 물건에 이름 쓰기, ★글씨 연습할 때는 다섯 칸 공책에, 교과서 문장으로 연습하기(좋아하는 문장-연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장-파란색, 맞춤법이 어려운 문장-빨간색 밑줄)
-도전문제 맞히기
★일기는 기억을 남기는 즐거움 행위
-일기쓸 때 대화를 통해 글감 찾기(훈계 감시, 추궁, 한글 공부 지양), 감정은 훌륭한 글감, 시간대별 글감 찾기, 철자 모르는 글자 동그라미표하고 넘어가기, 다양한 날씨 표현, 스스고 고쳐쓰도록 격려하기
그림일기는 글대신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 그림이나 글 둘 중 하나애 집중하기,아이 특성에 맞는 일기장 선택 , 열칸 공책에 쓰기(띄어쓰기 용이, 자형잡기 용이, 한쪽 채우기 쉬움)
◐글쓰기 공책과 글씨 쓰기 공책 따로 마련해주기
★글쓰기 목적-정서, 학습력, 창의력 발달
모르는 어휘가 5개 미만인 책 선택(독서교육 어떻게 할까? 김은하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