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통해 저자는 최인훈의 <광장>,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조지 오웰의 <1984>를 소개하며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를, 유토피아를 건설하기위해 수행되는 인간공학과 사회공학의 문제점을 소개한다. 

최인훈의 <광장>에서는 남한도 북한도 정착하지 못하고 주변인으로서 어디 한곳도 소속되지 못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유토피아에 대해 소개하고 있고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서는 한 섬의 보건원장과 섬주민(나환자)의 이야기를 통해 유토피아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오는 디스토피아를 소개한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는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인간사육(인간공학)을 소개하고 조지 오웰의 <1984>을 통해서는 전체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위한 통제와 감시를 소개한다.  

 이 작품들을 소개받으며 난 유토피아의 건설과 수단/과정의 정당성에 대해 생각했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이 세상에서 유토피아는 존재할 수 있을까하는 물음에 유토피아는 존재할 수 없을 거라고 자문자답을 해본다.  단지 우리는 유토피아를 꿈꾸며 디스토피아로 빠질 수 있는 가능성에 저항하며 이 사회를 지켜나가는 것이 아닐까.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와 희망이 혼재되어 있는 이 사회에서 누구나 만족할 수 있는 누구나 행복해 할 수 있는 유토피아는 불가능하다. 단지, 그 이상을 통해 이 사회가 디스토피아로 가는 길을 막을 뿐이다.  

결과와 목적을 위해 우리는 수단과 과정을 생략하거나 경시해도 될까. 그들이 만든 유토피아를 유지하기 위해 나타나는 비인간화와 억압과 통제는 불가피한 것일까. 목적(결과)을 위해 우리는 수단과 과정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결과를 위해 그 과정을 파괴하고 불필요한 것으로 만들어서는 안된다.

지금 우리 사회는 어떨까? 그들의 유토피아를 위해 우리에게 디스토피아를 강요하고 있지 않을까. 그들의 유토피아를 위해 우리를 개조하려 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를 통제하고 감시하고 있지는 않은가.  

너와 나의 공존이, 소통과 타협이, 논쟁과 똘레랑스가 이 사회를 디스토피아로 가는 길을 막아 주는 것이 아닐까. 그것이 바로 유토피아로 가는 과정의 한 모습이 아닐까. 유토피아라는 이상에 도달할 수는 없다해도 우리는 그들의 유토피아와 우리의 디스토피아를 막고 공존하는 공동체로 남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