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7월 22일 

 오늘은 막스 베버의 <직업으로서의 정치>입니다. 부제가 폭력으로 다스려지는 세계입니다. 아마도 근대이후 세상은 도덕적 선을 이상으로 하는 정치가 아니라 인간의 욕망(이익/소유등)과 폭력성하에 사회와 국가를 설계하고 정치하는 세계가 형성된 것 같습니다. 사람이 선한 존재인지 악함을 타고 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고대가 이상적이라면 근대이후는 아주 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베버는 독일사람이고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반시대의 사람입니다. 독일의 역사가 그 당시에 통일과 급속한 발전. 그리고 2번에 걸친 세계대전과 파시즘으로 흘러가죠. 아마도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격정적인 근.현대사를 갖는 국가일 겁니다. 

베버가 말하는 정치는 '정치적 조직체의 운영 또는 이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으로 한정해서 사용합니다. 제도적 장치일 뿐입니다. 정치는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해주는 어떤 내용을 갖고 잇는 것이 아닙니다. 마키아벨리에서 시작된 정치의 탈가치화, 탈도덕화가 뿌리를 내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치의 가치와 윤리성을 주장했던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정치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또한, 국가 개념도 정서적인 것, 도덕적인 것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법적 권리와 물리력이 어떤 범위에서 행사되고 있는지를 집중했습니다. 베버에 있어서 정치와 국가는 그것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입니다. 그리고 국가가 물리력을 독점하고 있다고 봅니다. 베버의 사상은 그만의 독창적 주장은 아니고요. 그 원천은 홉스의 사상이 있다고 합니다. (홉스는 자연상태를 전쟁상태로 보았고 그것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공권력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집니다.) 

뭐랄까? 베버는 정치가 물리력(폭력)과 떨어질 수 없는 한 배를 타고 있음을 직시하였습니다. 그 근저에 도덕/선/가치와 같은 고상한 이상들이 있지 않아 한편으로는 불편하지만(정의. 봉사, 선과 같은 고상한 이상이 존재하지 않으니깐요) 사회를 구성하는 인간과 그 작동원리를 현실적으로 직시했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고 베버가 폭력적인 국가.정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요 물리력이라는 그 현실을 직시하고 물리력에 빠지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사실 아직 소양이 많이 부족하다보니 '이건 아닌데'라는 반대/의문을 제기하기보다는 '그렇구나'하면서 따라 읽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웬지 정치라하면 보다 근사하고 고상한 이상(선,도덕,봉사 등)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베버는 그렇지 않네요. 요즘의 우리사회를 보면 정치란 행복/선을 추구한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통제하고 다스리기 위한 수단일뿐이라는 것을 알겠는데요. 그런데 그래도 뭔가 아쉽습니다.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는 정치가 폭력적인 자연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일뿐이라는 게 머리로는 이해가 되긴하는데 마음에 와 닿지 않습니다. 어딘가에 보다 근사한 이상(내용)이 있을 것 같은데요. 

이 챕터를 읽으면서 마음에 와닿는 문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옮겨 놓습니다. 베버의 말입니다. 

지도자도 영웅도 아닌 사람이라 할지라도, 모든 희망의 좌절조차 견디어 낼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한 의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지금 그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오늘 아직 가능한 것마저도 달성해내지 못할 것입니다. 자신이 제공하려는 것에 비해 세상이 너무나 어리석고 비열하게 보일지라도 이에 좌절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 사람, 그리고 그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할 능력이 있는 사람, 이런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