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 7. 16  

오늘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입니다. 워낙 유명인이라 마키아벨리와 그의 저작/주장을 제대로 본 적도 없는데도 아주 잘 알고 있는 것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사람이죠. 

마키아벨리를 통해서 이제 근대라는 새로운 세계로 들어서는 그런 의미가 있다고 하네요. 신아래, 봉건시대의 체계를 무시하고 새로운 체계를 주장했으니 그리고 그 이후 세상의 체계가 바뀌기 시작했으니 일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마키아벨리의 시대는 신의 영역하의 질서체계에서 인간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질서체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대전환기입니다. 이 전환기에 <군주론>은 작성되었고 그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입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후의 소개된 고전을 통해 우리는 마키아벨리 이후에 형성된, 고대 세계와는 전혀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데, 이세계는 어떻게 생겨났으며 지금은 어떤 모습은 띠고 있는지, 그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집중해서 살펴보아야 한다고 저자는 소개함니다. 

<군주론>은 헌정사와 2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핵심어를 중심으로 구분한다면 신생군주국, 자국군, 설득력을 기준으로 크게 3개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는 무력과 설득력을 갖추어야 한가고 주장하고요. 무력(물리력)과 설득력의 경계가 모호하며 그것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 군주의 "역량"이라고 말합니다.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제도적인 물리력과 이데올로기적인 설득력을 장악하고 있을 때 헤게모니를 쥐고 있다고 하는데, 마키아벨리에 따르면 특정한 역사적 국면(장소와 시간)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자만이 군주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군주에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역량입니다. 결국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방법이 <군주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고대 세계의 플라톤은 통치자가 지혜를 갖추어야 한다고 했는데, 근대 세계의 마키아벨리는 통치자가 기개를 갖추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장 훌륭한 군주는 "새로운 군주"라고 하는데 "새로운 군주"는 모든것을 자기 혼자 힘으로 쟁취하는 군주라고 합니다.아마도 기존에 물려받는 , 선택되어 모든 권력과 부를 갖는 통치자, 회장님이 아니라 본인의 능력과 노력으로 성취해야 한다는 얘기가 아닐까요? 

군주를 몰락시키는 것은 미움과 경멸인데 이것을 피하기 위해 군주는 물리력과 설득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여기서 물리력(무력)은 폭력이 아닙니다. 전 물리력(무력)을 강인함, 실력, 의지 등으로 해석하고요. 설득력은 소통, 이해(하기, 되기), 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마키아벨리하면 무지막지한 통치술을 주장한 사람으로 이해하기 쉬운데 꼭 그런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구시대의 끝자락에서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통치술을 주장했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용어의 의미가 500여년의 간극으로 우리의 이해와 다소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어째든 이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질서가 바뀌어야 함을 얘기합니다. 그것에 의미가 있겠네요. 그리고 지금도 계속해서 우리에게 메시지를 던져 주고요.

ps. 

새로운 질서체계를 얘기하지도 만들지도 못하면서 그놈의 일방통행과 폭력(가혹행위는 있으나 고문은 없고, 방패질과 군화발은 있으나 총/칼은 없고, 무지막지한 고소,소송은 있으나 법과 정의의 승리는 없는)은 난무하네요. 우린 지난 10년간 맛보지 못한 신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구시대는 지나가면 오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역사는 돌고 돕니다. 아! 지겨운 신시대. 언제 또다른 새로운 시대가 오려나. 

누가 그랬습니다. 그 사람들이 다 오른쪽에 있어서 그사람 왼편에 서 있으면 다 좌빨이 된다고... 어디까지 달려가 서 있어야 우빨이 될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