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음의 탄생 (반양장) - 대학 2.0 시대, 내 젊음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이어령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시대가 바뀌어도 대학 등록금은 다른 물가에 비해 비싼 편이다. 그러니 논밭을 팔거나 키우는 소 몇 마리는 학비로 바꿔야 대학 공부를 마칠 수 있다. 이렇게 비싼 돈 내며 배우는 대학생에게 학문의 이정표를 세워주거나, 정신을 깨우는 각성제 같은 책이 있다.
 
젊음과 낭만을 누릴 수 있는 과정과 공간의 여건이 충분한 대학에서의 배움을 헛되이 보내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이 담긴 이 책은, 도전과 창조에너지가 넘치는 학문 정신을 살리면서 젊은 영혼을 깨우치기를 바라는 책이다. 변화 메시지를 담은 혁신의 뜻을 9가지 주제의 카드로 보는, 젊음을 진화시키는 해법을 담았다.
 
저자는, 디지로그의 탄생을 선언하였던 석학으로, 오랜 경험과 이론에서 나오는 해박한 지식을 이용한 설득력 있는 제안을 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의 젊은이에게, 지성과 감성을 펼치는 무한한 열정을 표현하는 9가지 키워드를 주제를 내세워, 그에 맞는 젊은 에너지를 발산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대학에서 배우게 되는 학습은 “답은 하나가 아니다.”라는 것처럼, 대학은 이미 나와 있는 답에서 하나를 고르는 법을 가르치기보다 새로운 답을 찾아내거나 만들어내는 창조정신을 가르치는 곳이라는 전제 아래, 젊음을 진화시키고 창조하자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우리 동요" 떴다 떴다 비행기"에서 발견하는 우리 문화를 격상시키는 사례를 포함하여, 각종 다양한 동서고금의 사례를 이용한 9가지 주제 카드의 해설 내용은, 카니자 삼각형을 떠올리게 하는 팩맨을 비롯한 여러 도형을 보여주는 마술 카드로, 대학 2.0 시대를 예고하는 특징이 있다.
 
내용 중에는, 물음 느낌표나, 개미의 동선에서 보여주는, 목표를 향한 도전과 탐색의 열정을 펼치라거나, 선택 패러다임을 겹눈의 시각으로 바꾸라는 제안이 돋보인다. 또한, 연필의 단면도처럼 균형잡힌 벌집 구조 육각형의 신비와 자유로운 지우개처럼 창조적 사고로 생각의 폭을 넓히라고 조언하는 점도 눈에 띈다.

"연필처럼 유연한 사고여야 한다는 겁니다. 한번 쓰면 절대로 지워지지 않는 잉크펜이나 볼펜 같은 경직된 사고형에서는 결코 창조적인 생각이 태어나지 않습니다."
 -p 154 -
 
이탈리아 화가 라파엘로의 사례나, 이순신 장군의 독창성, 그리고 플레밍 박사와 페니실린에 얽힌 일을 예로 드는 등, 동서양의 사상을 통괄하는 해박함이 묻어나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융합하는 비빔밥 문화를 예찬했던 것처럼, 평소 지적 나그네의 젊은이게 들려 주고 싶은 저자의 열망이 묻어 있다.
 
"젊음은 새롭게 탄생합니다. 젊음은 대학을 낳고 대학은 시대를 낳습니다. 시대는 다시 대학을 낳고 대학은 다시 젊음을 낳습니다. 둥글게 둥글게 앎은 삶으로 삶은 앎으로 순환합니다."
 - p 231 -

 
미래 지향적인 대학 2.0의 제안은, 개방, 참여, 나눔의 특성을 이용한 학문의 회통을 꾀하며, 유연하고 창의로운 생각으로 삶을 풍요하게 업그레이드 시키는 꿈의 청사진이다.
 
저자의 천재성이 드러나는 날카로운 시선과 기발한 해석의 결실을 담은 글 속에서, 거미줄같이 이어진 저자의 상상력을 따라 펼쳐지는 가능성을 밝히는 청사진에 눈여겨 볼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