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도둑 - 한 공부꾼의 자기 이야기
장회익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실용주의를 앞세우는 새 정부의 교육 정책으로 시행되는, 0교시 수업과 우열반 제도가 운영된다고 한다. 그렇지 않아도, 청소년의 교육이 입시 위주라서 인성 교육이 부족한 시점에서 과연 바람직한지? 공부만 하다가 하고 싶은 것 다 못하는 청소년의 후회는 없는지? 자못 걱정이 된다. 

 

자신이 평생 공부해 온 이야기를 하는 이 책은, 공부한 방법을 학생이나 교육자들이 공감하도록 풀어낸다. 그리고 줄곧 스스로 터득하는 공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하고, 득점 경쟁으로 치닫는다면, 배우고자 하는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는 현대 교육의 위기를 지적하고 있다.

 

70평생을 학문의 길에서 공부에 전념했던 노학자의 일생을 되돌아 보며 공부에 대한 과정과 생각을 진솔하게 풀어낸 이 책은. 평범한 자서전이 아닌 눈에 띄는 편집으로, 마치 판소리 열두 마당처럼 일생의 고비마다 있었던 일들을 흥미있게 밝힌 점이 특징이다.

 
녹색 사상가로 환경 운동에도 관여하는 저자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과학 철학을 바탕으로 하는 평생 학문을 실천하고 있다. 끝이 없이 배우는 기쁨, 깨닫는 즐거움을 누리며. 그 보물창고로 향하는 과정 속에서 그 길을 행복하게 느끼는 공부쟁이임을 숨김없이 털어놓고 있다.

 
어린 시절 신화처럼 들려주는 조상의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집안의 가난으로 공민학교에 다녀야 했던 사정이나, 중 고등 시절의 물리학에 눈을 뜨던, 잊지 못할 학창시절의 추억들을 실타래를 풀어내 듯 들려준다.
 


대학에서 물리학과의 만남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그리고 함석헌 등, 자신의 철학을 꽃피우는 온 생명에 이르기까지 학문과 삶의 과정에서, 독창적 학문의 세계를 구축하여 주목받았던 사실 등 끝없이 앎을 추구하며, 학문을 등산처럼 여긴 배움의 지혜를 담아냈다.


 
공부는 책상에 앉아 힘들여 하기도 하지만 산에 올라가 놀면서도 하고, 잠자리에 들어가 쉬면서도 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 모두가 공부의 과정이 되도록 사고 습관을 조정하는 일이다.
 -  p 288 -
 

 


이제 자연 과학과 인문학의 연결을 희망하는 저자의 열망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선조가 이룬 <우주설 >에 대한 깊은 관심을 이어가는 것처럼, 후학의 끝없는 정진으로, 우리나라의 과학 철학이 머지않아 큰 열매가 맺어지기를 기대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mhy311 2008-05-01 0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