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물을 자르면 라임 그림 동화 39
디디에 레비 지음, 피에르 바케즈 그림, 이세진 옮김 / 라임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물을 자르면



디디에 레비 글
피에르 바케즈 그림
이세진 옮김
라임출판사​


#그물을자르면 은 환경그림책으로
해양 쓰레기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다양한 해양 동물들을 고치는 상어 올리의 모습을 보면서
환경을 대하는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게끔 해요.

메조틴트 기법의 판화로 표현한 그림이 너무나 인상적이여서
한 번 본 책 표지가 계속 생각났답니다.





깊은 바닷속에 사는 상어 올리는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은 오래된 난파선을 발견했어요.
난파선 여기저기를 살펴보던 올로는 기계실에서 구한 다양한 공구로
집게발이 뒤틀린 게,
그물에 다리가 엉킨 낙지, 온몸에 뽀죡한 빨대가 빽빽하게 박힌 농어 등
아픈 물고기들을 고쳐주었어요.



어떤 날은 깊은 바닷속에 드리워진
거대한 그물을 잘라
그 속에 갇힌 수많은 물고기들을 구해 주기도 하지요.



많은 물고기를 잡기위해 그물을 내렸던
고기잡이 배는 이러한 올리가 못마땅했어요.
올로를 잡기 위해 현상금까지 내걸었지요.




곧 잡힐 위험에서 올로는 대왕고래 배 속에 숨는 꾀를 내었어요.
하지만 결국 고기잡이배에 잡히게 된 올로는
수족관에 갇혀서 사람들의 구경거리가 되었어요.
유리로 둘러싸인 감옥에서
드넓은 바다로 돌아가는 꿈을 꾸는 올리.

올리는 다시 바다로 나가 자유롭게 헤엄치며
살아갈 수 있을까요?



#그물을자르면 을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그 중에서 세 가지를 나눠보려고 해요.


첫번째는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

태평양 쓰레기섬에 대해서 들어보신 분들이 있을 거예요.
지도에는 없지만 한반도 면적의 7배에 해당되는 거대한 쓰레기섬이
태평양 바다에 존재하고 있어요.
그 무게가 무려 8톤으로 추정된다니 어마어마한 양이죠!
해류에 의해 떠다니던 쓰레기들이 한 곳에 모이더니
엄청난 크기의 섬을 이루게 된 것이에요.

이런 쓰레기들은 바다에 사는 많는 해양 동물들을 죽음에 이르게도 해요.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를 삼켜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배 속에 가득찬 채로 죽은 고래,
빨대가 콧구멍에 꽂혀 발견된 거북,
폐 그물이 목을 조여 죽기 진전에 구조된 바다표범,
비닐봉지가 다리에 묶인 갈매기... 등
우리가 편하게 사용한 많은 것들이 쓰레기가 되어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어요.


동물들이 살지 못한다며
결국엔 인간도 살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 같아요.




두번째는 치어까지 싹쓸이하는 불법 어획


올로가 가위로 자른 그물은
작은 치어까지 잡아버리는 그물로 보여요.
지금 당장은 많은 물고기를 잡아 좋아보이지만
이러한 일들이 지속된다면
수많은 물고기들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고
결국엔 다시는 볼 수 없게 되어 버릴거예요.

앞으로 태어날 우리 아이들에게는
살아있는 물고기가 아닌 물고기 도감에서나 볼 수 있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세번째는 수족관이라는 감옥

바다에서 사는 고래의 평균 수명이 30~40년인데 비해
수족관에서 사는 고래의 평균 수명은 7년밖에 안된다는 글을 본 적이 있어요.

수족관에 갇힌 올로가 넓은 바다로 돌아가는 꿈을 꾼 것처럼
지금도 좁은 수족관에 갇힌 채 살아가는 고래를 비롯한 많은 해양 동물들이 바다로 향하는 꿈을 꿀 것 같아요.

올로가 다시 넓은 바다로 돌아간 것처럼
수족관에 갇힌 많은 해양 동물들이
다시 푸르른 바다를 헤엄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봤어요.


#그물을자르면
환경과 생명 존종까지 생각하게 되는 그림책으로
초등학생들과는 관련 뉴스를 찾아보며
더 깊이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