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삼국지를 잘 모른다. 그래서 바보처럼 초선이라는 이름이 너무도 낯설었다. 그래서 오히려 더 좋았는지도 모르겠다. 사람들의 머리속에 각인된 폐월 초선의 이미지가 아닌..그저 박서련작가가 새로 쓴 초선이라는 인물이 내가 보는 최초의 초선이었으니까..그저 살고자 했던 여인..사는게 가장 중요했던 여인..그래서 살아남은 여인..먹을 게 없어 아이마저 잡아먹던 시기에 부모에 의해 다른집으로 보내져 잡아먹힐뻔 했지만 도망친 아이..어떻게 살아가라고 누구하나 알려주지 않았지만 다리밑 거지소굴에서 겨울엔 너무 추워서 여름엔 너무 더워서 죽어나가는 아이들 틈에서 살아남은 아이..태평도를 믿지 않지만 황건군에 합류해야만 살 수있다는 대장의 말에 따라나선 아이.관군들에 의해 죽음을 당하는 사람들 틈에서 있는 힘껏 도망쳐 살아남은 아이..관군의 장수에게 발견되고 예전 대장이 했던 충신의 후손이었지만 홀로 살아남았다는 거짓말로 장수 왕윤의 양녀가 된 아이..몸종 도화에 의해 거지였음이 밝혀져 내쳐지지만 자신을 찾으러왔던 대장과 도화를 팔아 ㅇㅏ버지의 목숨을 살리고 자신도 살아남은 아이..초선에게는 자신을 살려준 아버지가 너무도 소중했고 양녀로써 시집을 가기보다 아버지의 첩으로라도 받아달라고 청했다가 가기로 보내진 ㅇㅏ이..가기로써의 배움을 열심히 하던 중 연회에서 왕윤을 만나고 자신의 미모를 알아본 왕윤에 의해 다시 양녀가 된 여인...정조를 지켜야한다는 아버지의 말에 자신의 정조가 꼭 필요한곳이 있음을 알게된 여인..담벼락밖에서 들리는 소문들에 의해 여포와 동탁을 알게되고..아버지의 뜻을 알아차려 그뜻에 동참하게 되는 여인..동탁을 치기 위해서는 여포가 필요하고 그렇게 만들기 위해서는 자신이 필요함을 알기에 기꺼이 자신의 몸뚱이를 둘에게 바친 여인...동탁이 죽었지만 동탁을 따르던 잔당들로 난리가 나자 같이 자결하길 원하는 왕윤..하지만 죽지 못해 살았던게 아니라...살기 위해 살았던 초선이었기에...자신을 살려주었기에 사랑했던 아버지의 말을 들어줄수 없었고..온몸에 털이 하얗게 새고 어금니도 삭아버려 도저히 아름다웠던 초선의 모습을 찾을수 없게 되었지만..원래부터 얼굴을 잘 알아보지 못해 자신이 이쁜지도 몰랐던 그녀였기에..살아남아 기쁜게 아니라..그저..살아서 삶을 계속 살아가는 것일 뿐인 '초선'의 이야기!사람이 되려고 우리는 성문을 나섰다.겨우 사람이 되려고.p.025이름을 지어 부른다는 것은 가까이 오라는 뜻이다. 멀리 가지 말라는 뜻이다.곁에 있겠다는 말이다.p.035목숨을 내놓을 각오로 거짓말을 하다 보면 어느덧 그것이 참이 되기도 한다. 시늉도 백 번이 되고 천 번이 되면 더는 시늉이라 할 수 없게 되는 이치다. 하지만 신분만은 시늉으로 고칠수 없다. 천출이 천 번 만 번 귀인 행세를 해봤자 무소용이다. 저 스스로 천하다는 것을 잊어야 진정으로 귀한 행세를 할수있는데. 천하지 않으려 애씀이 이미 천한 것이다. 제가 천한것을 모르면 귀하려 애쓰지도 않는다.p.058돌이키건대 예전 나의 종이 죽기 전 저주했던 것처럼 나는 이제 지아비를 둘도 아니라 셋이나 모신 천하의 음녀가 되었고, 나와 이어진 남자들은 모두 얼마간 나와 닮아 있었다.그런 것을 하늘의 뜻이라 부르지는 못하겠다.p.191죽는 것만큼은 할 수 없습니다.기억도 어렴풋할 만큼 까마득한 어릴 때 나는 이미 부모에게서 달아난 적 있었다. 이웃 애와 나를 바꾸어 먹으려는, 나를 죽이려는 부모는 부모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내가 아버지를 사모한 것은 그가 나를 살려주어서였다. 이제 와서 나더러 죽으라 했다고 사모의 정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로되 그것이 내가 따를 수 없는 명인 것은 여전했다.p.224#폐월초선전 #박서련 #콜라보리뷰단 #은랑전 #켄리우 #은행나무 #황금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