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구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가장 우연하고 경이로운 지적 탐구 서가명강 시리즈 37
천명선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집마다 반려동물이 있는 것이 당연해진 시대. 우리는 동물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냥 키우는 개, 고양이가 아닌 ‘반려’동물이 된 지금, 우리는 지금까지 놓치고 있던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지구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지구는 인간의 것이 아니다.



인간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는 반려동물 개와 고양이는 집안으로 받아들여져 관심과 애정의 대상이 된다. 지금의 우리는 개, 고양이 고기를 먹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내가 키우는 개, 고양이가 생각나서. 개와 고양이는 우리 곁에 너무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니까. 동물권, 동물 윤리에 대해 생각해 볼 때 항상 답이 나오지 않는 질문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소와 돼지, 닭을 먹는 것은 아무렇지 않아도 되나? 개와 고양이는 우리 가까이서 귀여운 존재로 인식되어 있는 동물이기에 먹지 않고, 소와 돼지, 닭 등은 먹는 게 당연했으니까 먹고? 아이러니하다. 그런 생각 때문에 비건을 시작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동물과 공존하기 위해서는 참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고 행해왔던 것들조차.





너무 커서 가늠조차 안 되는 숫자이다. 매년 도축되는 소, 돼지, 닭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왜 어떤 동물은 죽이고 어떤 동물은 사랑받는가


열악한 환경에서 고기를 위해 희생당하는 공장식 축산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 좁디좁은 철장에 갇혀 새끼를 낳고 또 버려진다. 좋은 품질이 될 때까지만 살 수 있다. 어떤 동물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빛을 못 보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형광등에 의지해 살아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