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철학이 필요한 시간 - 삶에 대해 미치도록 성찰했던 철학자 47인과의 대화
위저쥔 지음, 박주은 옮김, 안광복 감수 / 알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J서재

[하루 10, 철학이 필요한 시간l위저쥔l 알레]

- 삶에 대해 미치도록 성찰했던 철학자 47인과의 대화

원제 : 50堂經典哲學思维課

 

여전히 우리의 인생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철학자 47인의 지혜가 무겁게 담긴 이야기 <하루 10, 철학이 필요한 시간>.

 

일단 관심이 가는 철학자부터 탐색했다. 가장 먼저 만나 본 철학자는 자기만의 정확한 시간이 있었던 칸트다. 그는 경험 없는 사고는 텅 비었고, 사고 없는 경험은 눈멀었다라고 말했다. 칸트는 경험적 판단은 일종의 종합판단이라고 했다. (더 세부적인 내용은 책에 있음.)

 

이에 칸트가 말하고 싶었던 부분은 객관성은 결국 에게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객관성은 외부 세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닌, 인간의 마음과 인식 대상을 바라본 시각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 그러므로 객관성은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객관성을 갖고 싶으나, 지극히 자신이 경험한 것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더욱더 객관성에 가깝게 세상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험을 해야겠다는 나만의 결론. 가장 쉬운 경험으로는 결국 아니겠는가. 그중에서도 문학이라는 장르로 귀결된다.

 

문학만큼 좋은 게 어딨을까. 작가는 머리를 쥐어 뜯어가며 창작의 고통으로 뱉어낸 이야기를 독자는 읽기만 해도 배울 수 있는 세상 이야기다. 칸트로 얻은 객관성의 지혜. 앞으로 더 기대되는 철학가들로 지혜로 나는 세상을 더욱 객관성에 가깝게 바라보길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