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백해도 되는 타이밍 ㅣ 우리학교 소설 읽는 시간
황영미 지음 / 우리학교 / 2025년 5월
평점 :
#MJ서재
[고백해도 되는 타이밍l황영미 장편소설l우리학교]
책장을 펼치는 순간, 마치 내가 다시 10대로 돌아간 듯한 기분이 들었다. 책의 표지에는 여름의 따뜻한 온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고, 소설의 서사 역시 한여름의 무더위를 배경으로 펼쳐진다. 청량한 푸른빛의 나무들은 마치 등장인물들의 각기 다른 매력을 담아내고 있는 듯하다.
황영미 장편소설 『고백해도 되는 타이밍』은 주인공 ‘홍지민’의 시선을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예민하고 날카로운 사춘기 시절, 세상의 중심이 ‘친구’이고 모든 문제의 원인 또한 ‘친구’인 시기다. 동시에 이성에 대한 감정이 싹트기 시작하는 때이기도 하다.
어느 날, 지민은 친구들이 자신을 두고 “허언증 개찐따 주제에”라고 말하는 것을 우연히 듣게 된다. 모두가 자신을 좋아한다고 생각했던 지민은 큰 충격에 빠진다. 사실 지민은 자신의 아픔과 불안을 감추기 위해 무심코 던졌던 말들로 인해 ‘허언증을 가진 아이’라는 오명을 얻게 된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오는 상처와 자아에 대한 혼란이 그녀를 깊은 외로움으로 몰아넣는다.
현실에 지친 지민은 ‘밍글’이라는 익명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기 시작한다. ‘학교에서 혼자 급식 먹는 법’, ‘고백해도 되는 타이밍’, ‘짝남 마음 어떤 것 같아?’와 같은 글은 누군가에겐 사소할지 몰라도, 지민에게는 간절하고 진지한 고민이다. 이 공간에서만큼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들과 연결되며, 조금씩 위로받고 변화하기 시작한다. (개인적으로, 요즘 청소년들이 이렇게 온라인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면서도 안타깝게 느껴졌다.)
이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은 단순히 ‘청춘의 연애’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의 민낯과 자아 정체성, 그리고 성장의 통증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는 데 있다. 지민과 그녀를 둘러싼 친구들 사이의 미묘한 감정선, 상처와 질투, 공감과 화해의 순간들이 세심하게 그려져 있어 독자들은 그들의 감정에 쉽게 이입하게 된다.
『고백해도 되는 타이밍』은 오늘날의 청소년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 관계의 불안정성, 사회적 압박 같은 문제들을 진솔하게 담아낸 성장소설이다. 문학이란, 삶의 복잡한 감정들을 들여다보고 말로 표현하게 하는 힘이라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해주는 작품이다. 특히 혼자라고 느껴지는 순간이 잦은 청소년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책이다.
#고백해도되는타이밍
#황영미장편소설
#우리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