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위로
이철환 글.그림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높이와 깊이

나는 높아지고 싶었다. 삶의 밑바닥에 등을 맞댄 채 눅눅한 습기에 젖어 우울의 깊이가 깊어 질수록 새털처럼 가벼이 날아올라 하늘과 가까워지기를 바랐는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하늘 가까이 높아져 있는 사람들이 부러워 우러러볼수록 그들은 나를 조롱했고 기만했으며 보이지 않는 가시로 무자비하게 찔러대곤 했다. 물론, 그것은 나의 비뚤어진 자의식이며 열등감이었을 뿐이었다. 그들의 높이는 원래부터 주어졌거나, 피나는 노력으로 가져진 것이었다.

하지만 높이만 가지고 있던 이들은 대부분 보이는 것에 열광하는 자들이었다. 물론 나 또한 보여지는 것만 믿었다. 그렇게 눈에 보이는 높이만을 탐닉하며 정신없이 앞만 보고 살아갈 때에는 시시때때로 불안감과 무력감 사이를 넘나들며 시들어 버린 꽃처럼 시름시름 앓았다. 해가 지고 해가 뜨는 아침이 오면 어김없이 눈을 떠야하고 매일 똑같은 하루가 지리멸렬하게 반복되는 삶이 죽고 싶을 만큼 끔찍했다. 그렇게 생의 마지막 끈을 놓아버리고 싶었던 악몽같은 시간들을 글을 쓰며 견뎠다. 그것은 나만의 언어였고 살고 싶다는 몸부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 시간은 암흑 같았지만, 어둠 속에서 발가벗은 나의 자아와 진실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기도 했다. 자존을 가지지 못한 채 날 선 자존심만으로 지난한 삶을 연명해 가고 있을 때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글을 쓰면서 스스로를 치유하고 세상과 화해하게 되면서 조금씩 삶의 진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그 진리는 바로, 깊이를 가지지 못한 높이는 모래성처럼 무너지고야 만다는 것이었다.

깊이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면서 나무처럼 살고 싶고, 나무 같은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열망이 마음을 일렁이게 하곤 했다. 나무의 높이는 깊이가 없이는 불가능하며, 뿌리를 깊숙이 내리지 못한 나무는 오래 서 있지 못한다. 나무는 자신의 높이를 위해 다른 나무의 가지를 결코 해하는 법이 없으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지상에서는 껴안을 수 없으나 땅 속 깊이 뿌리를 내리고 깊숙이 서로를 껴안는다. 이것이 나무의 삶이며 나무의 사랑법이다. 

어쩌면 아마도 어렵사리 그 누군가를 만나도 채워지지 않았던 공허함은 깊이에 대한 목마름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눈에 보이는 높이를 가진 사람은 많았으나 견고한 깊이를 가진 사람을 만나는 일은 참 어려운 일었다. 나의 높이만 보려했던 얄팍한 이들은 여린 나뭇잎처럼 얕은 바람에도 쉬이 떨어져 나가거나 냉정하게 가지를 잘라내어야 했다. 숱한 비바람을 이겨낸 나무가 저 스스로 나이테를 그리며 뿌리를 더 깊숙이 내리듯이 나도 조금씩 천천히 깊어지고 있다. 그래서 고마운 오늘의 나는 생애 마지막 사랑이 주어진다면 반드시 나무처럼 깊이 있는 사랑을 하리라고, 그리하여 높이가 아닌 깊이를 열망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깊이를 갖고 싶다면 높이에 집착하지 말고 지금 해야 할 일을 하며 묵묵히 걸어가면 돼. 깊이를 갖는다는 건 자신의 가능성을 긍정하며 어둠의 시간을 견디겠다는 뜻이니까.... 나도 확신할 순 없지만 실패와 치욕을 통해 우리는 깊이를 배우는 것인지도 몰라...." 
p.66 [위로 | 이철환]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차별하기 위해 태어났다 - 차별과 혐오를 즐기는 것은 인간의 본성인가?
나카노 노부코 지음, 김해용 옮김, 오찬호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차별하기 위해 태어났다.

인간은 약한 존재이다. 그 약함을 이겨 내기 위해서는 무리지어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보듬으며 살아야 했다. 그 공동체는 서로를 지켜주는 강한 보호막이 되었지만, 예나 지금이나 공동체에 반하는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든 차별을 받아야 했다. 사람 사이의 정을 특별하게 여기는 한국 사회에서의 공동체 의식은 남다를 수밖에 없기에 그런 일들은 비일비재 했을 것이며, 아이이거나 어른인 우리들은 때론 방관자가 되어 소수의 상처를 모른 척 했을 것이다.

특히나 누구나 살면서 거쳐 가야 하는 학교 공동체에서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도드라진 아이나 매우 느린 아이들, 가난하거나 몸이 불편한 아이들이 차별의 대상이 되어 왔음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그런 소수의 아이들은 다수의 아이를 이끌어 가야 하는 선생님에게는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존재였을 것이다. 물론 모두를 아우르는 가슴 따스한 선생님들도 분명히 계심을 안다. 

하지만, 여전히 공동체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의 근본적인 원인을 들여다보고 개선하려는 의지보다는 공익을 우선시하며 현 체재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무시할 수가 없다. 새로 구상하는 동화는 별 다른 이유 없이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받아야 했던 딸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공동체의 불합리함을 이야기해 보고 싶다. 어른이나 아이나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 하면서 ‘우리'라는 틀에 갇혀 힘을 가지게 되는 무리에 대한 이야기를 어떻게 동화로 풀어낼지...고민이다. 

내 가족의 이야기를 객관화시키는 일은 매우 어렵고 어렵다. 특히나 딸의 아픈 상처는 나의 상처이기도 하기에 더 아프고 버겁다. 그래도 써야만 한다. 그래야 나도 딸도 아픈 상처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아이도 그런 적이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가면 하나님께서 다 치유해 주실 거예요”

이번 합평 원고를 마감하게 되면, 강한 결속력을 지닌 공동체에서 받았던 깊은 상처를 극복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차별하기위해태어났다ㅣ나가노노부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꽃 귀걸이 - 군산푸른솔초 4학년 6반 어린이 시집
군산푸른솔초 4학년 6반 어린이 지음, 송숙 엮음 / 학이사(이상사)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사진과 아이들이 순수한 언어로 쓰여진 동시는 하나같이 맑고 투명하다. 소녀시절 분꽃귀걸이를 하던 그때로 돌아간 듯한 설레임으로 읽어도 읽어도 자꾸만 자꾸만 읽고 싶어지는 아이들의 언어가 빡빡한 도시의 삶에 단비처럼 내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