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학교입니다 -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읽고 나누는 특별한 가정통신문 함께교육 1
권재원 지음 / 서유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읽고 나누는 특별한 가정통신문

안녕하십니까, 학교입니다.


중학교 선생님이 쓴 책인데

'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사나 학부모라면 공감할 이야기들을 많이 풀어 놓으셨다.


책소개글에 이끌려 읽게 되었는데

연신 고개를 끄덕이며 읽어나갔다.

결론은 명확하고 충분히 이해도 되고.


메세지도 강한데

마치 강연장에서 저자의 강의를 듣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들게하는 문체여서

만약 같이 대화를 하던 중이었거나 댓글을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저자와 만났다면

원래 의도가 곡해될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도 잠시 들었다.

하지만 전반적인 생각은 나도 같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학부모의 길을 흔들리지 않고 걸어야겠다는 다짐도 해보고... 



교육열이 높은 것과 교육에 관심이 많은 것은 별개라고 한다.

교육열보다는 교육에 관심이 많은 부모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자녀와 대화를 많이 나누어야 한단다.

아...

나는 교육에 관심이 많은 부모라 여겼는데

부족했구나.

아직 시간이 있으니 아이와 대화 시간을 자주 가져야겠다.

아이와의 대화가 중요하다는 걸 머리로는 아는데

손과 눈은 항상 스마트폰에 꽂혀 있으니...반성중...

지금 내가 부족한 모습이더라도 내 삶에서 행복을 누리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행복한 것을 아이에게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매일 감사하며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방법이겠다.

여기서 생뚱맞긴 하지만...;;


 

이 책은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사춘기 학부모라는 제목으로 2부에서는 공부 생각이라는 제목으로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앞서 언급했지만

결론은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선 옆집 교육학을 따라가지 말고

진짜 사교육이란 학교 공부에서 확장된 학원 교육이 아니라

학교 공부에서 다 배울 수 없는 기능적이고 예술적인 교육으로 바로 정의 내리고 오히려 확장해야 하며

삶을 기울여 가르치는 부모가 되라 정도.

또한 경제 논리에서나 어울리는 수요자 논리를 학교에 적용시켜서는 안된다는,

시험공부는 절대 공부가 될 수 없다는 것 등.


저자의 생각에 전적으로 동감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도덕이 경쟁력입니다』라는 부분이 무릎을 치게 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을 하게 만드는 주제이기도 했고...


고리타분하거나 원론적인 이야기라 단정짓기 전에

한 번 꼼꼼히 읽어보기를 권한다.

저자도 아이들의 공부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공부의 이유가 있어야 공부가 재미있어진다고 했는데

교육에 관한 문제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왜 이렇게 주장하지?

내가 안 해도 남들은 다 하는 선행학습인데 왜 하지 말라고 하지?

험난한 이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일단 공부부터 시켜야지 무슨 소리야?


내가 가진 결론을 충분히 맞다고 설득해 주어 내가 잘 이해가 된

의미있는 책읽기 시간이었다.

일단 학부모님들께 꼭 권하고 싶은 책읽기 시간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