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클래식 1포옹 - 하루를 껴안는 음악의 힘 1일 1클래식
클레먼시 버턴힐 지음, 이석호 옮김 / 윌북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끄럽지만 내가 아는 클래식 음악은 가끔 드라마나 영화에서 마주친 베토벤, 모짜르트 음악들, 우리 아이들 재울때 듣는 자장가로 대표되는 음악들이 대부분이다. 나에게 클래식은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듣는 음악, 즉, "클래식 음악=태교 음악=자장가 음악" 정도로 여겨졌다. 이랬던 내가 클레먼시 버턴힐의 책 <1일 1클래식 1포옹>을 만나고 나서는 "클래식 음악 = 일상의 음악" 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1일 1클래식 1포옹>은 작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 팟캐스트 진행자 및 출연자인 클레먼시 버턴힐의 2017년 작 <1일 1클래식 1기쁨>에 이은 두 번째 클래식 음악 감상책이다. 더 놀라운 것은 작가가 전작의 성공 이후 갑작스레 찾아온 뇌출혈로 인해 언어 및 인지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었는데 쉽지 않은 수술 후 회복하는 기간 내내 음악의 위로를 받으며 다시 회복하고 일어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작가는 <1일 1클래식 1포옹>을 출간해 내며 음악이 주는 치유의 힘과 위로를 보다 많은 독자들과 함께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일상에서 클래식이 주는 위로와 기쁨을 먼저 느껴본 사람으로서 이 책을 200퍼센트 활용하는 팁을 공유해 본다.

1. 1일 1클래식을 습관화 해보자!



클레먼시는 슈만, 쇼팽, 슈베르트, 베토벤 등의 역사 깊은 정통 클래식 음악부터 니코 뮬리, 멜 보니스, 이블린 글레니, 패미 고, 막스 리히터 등 다소 생소하면서도 신선한 음악가들의 음악을 장르별로 다양하게 소개해 주기에 클래식이 더이상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소나타, 합창, 중창, 오페라, 뮤지컬 넘버, 탱고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같은 음악 양식도 작곡가 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고 또 다른 분위기의 음악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월 5일에 낭만주의 시대에 가장 유행했던 4분의 3박자 폴란드 전통 춤곡 '폴로네즈'를 베토벤의 버전으로 들을 수 있었다면 1월 6일에는 스무살에 쇼팽이 쓴 그랜드 폴로네즈를 감상해 보며 두 가지의 폴로네즈를 감상해 볼 수 있다. 1일 1클래식은 '오늘은 어떤 음악이 소개될까?' '오늘은 또 무엇에 대해 배우게 될까?'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클레먼시는 슈만, 쇼팽, 슈베르트, 베토벤 등의 역사 깊은 정통 클래식 음악부터 니코 뮬리, 멜 보니스, 이블린 글레니, 패미 고, 막스 리히터 등 다소 생소하면서도 신선한 음악가들의 음악을 장르별로 다양하게 소개해 주기에 클래식이 더이상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소나타, 합창, 중창, 오페라, 뮤지컬 넘버, 탱고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같은 음악 양식도 작곡가 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고 또 다른 분위기의 음악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월 5일에 낭만주의 시대에 가장 유행했던 4분의 3박자 폴란드 전통 춤곡 '폴로네즈'를 베토벤의 버전으로 들을 수 있었다면 1월 6일에는 스무살에 쇼팽이 쓴 그랜드 폴로네즈를 감상해 보며 두 가지의 폴로네즈를 감상해 볼 수 있다. 1일 1클래식은 '오늘은 어떤 음악이 소개될까?' '오늘은 또 무엇에 대해 배우게 될까?'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2. 클레먼시에 의해 큐레이트 된 각 월별 음악 리스트를 QR코드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데 여유가 될 때는 음악전체를 감상하며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이나 궁금한 음악을 발견해 보자!



선 음악 감상 후, 궁금한 음악에 대한 클레먼시의 해설을 찾아 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나는 1월 음악을 감상하다가 13일에 추천된 클로드 드뷔시의 두 개의 아라베스크, L.66번을 듣고는 내가 평소 좋아하던 음악임을 알아차리고 p.47의 해설을 읽어보았는데 이 노래는 드뷔시가 이십 대에 쓴 곡이며 음악적 '인상주의'의 정수를 보여주며 미국 팝가수 Alicia Keys의 <Like the Sea>의 도입 음악으로도 쓰였던 것임을 알았다.

3. 때로는 유튜브 영상을 직접보며 음악을 감상해 보자!




아래는 올라뷔르 아르드날의 '입자들'이란 곡이다. 아르드날의 피아노 연주와 그의 친구 난나 브린디스 힐마르스도티르가 직접 노래하는 모습을 보며 곡을 감상하니 감동이 배가 되고 클레먼시가 어떤 부분에서 이 곡을 통해 평온함과 취약함을 느끼게 되었는지 공감할 수 있었다.



여담으로 위와 같이 책에 있는 QR코드를 이용해서 무료로 음악을 들을 수 있지만 이 때 몇몇 음악에는 유튜브 광고가 끼어있어서 개인적으로는 다소 불편했다.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의 경우는 유튜브에서 '1일 1클래식 1포옹'을 검색해서 전체 음악을 들을 수 있는데 이 때 중간에 가끔씩 뜨는 광고 없이 흐름을 깨지 않고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4. 모르는 음악 용어가 나오면 당황하지 말고 검색해 보자!

사실 이 책의 장점이기도 하면서 단점이 될 수 있는 큰 틀의 형식(1일 1클래식)때문에 한 페이지에 한 곡에 대한 설명이 다 커버되어야 하기에 독자의 입장에서는 궁금한 내용에 대한 해답이 불충분할 때가 많다. 용어에 대해서도 충분한 설명이 달려있지 않아서 나 같은 클래식 문외한에게는 조금 어렵기도 했다. 이 때는 조금 귀찮기는 해도 각자 검색해보면서 모르는 내용을 해결해 보는 것도 좋은 음악 공부가 될 수 있다.

끝으로, "여는 말"에서 이 책을 추천하는 엘리자베스 데이의 말처럼 클래식을 가까이 하고픈, 클래식을 더 알아가고픈, 또는 이미 클래식을 많이 알고 있는 사람 모두에게 올 한해를 시작하며 줄 수 있는 음악과 책의 콜라보가 돋보이는 멋진 선물이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