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프고 웃긴 사진관 - 아잔 브람 인생 축복 에세이
아잔 브람 지음, 각산 엮음 / 김영사 / 2013년 7월
평점 :
인생은 갖은 물건에 비유되곤 합니다. 언젠가 자전거를 인생에 비유한 책을 읽고서 이렇게도 표현할 수 있겠다 싶었는데, 이번에는 사진관입니다. 처음에는 무언가 싶었습니다. 인생을 앨범에 비유한 글은 몇 번인가 봤었는데 사진관은 또 색달랐습니다. 제목 참 독특하다, 어떤 사진들을 찍었나 생각하며 읽었습니다.
이 사진관의 주인은 30년 넘게 수행승으로 지낸 웃음 명상가이자 이 책의 저자인 아잔 브람입니다. 이 주인이 찍은 사람들의 고민과 인생, 그리고 자신의 인생을 곁들이며 삶을 이야기합니다. 힘든 인생이어도, 슬픈 인생이어도 보람찬 삶을,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고요함의 길, 놓아버림의 길'을 걸으면서요.
저자 아잔 브람이 찍은 인생 사진 속에는 줄곧 '고요함의 길, 놓아버림의 길'이 등장합니다. 누군가 못된 말로 내 마음을 찔렀을 때, 누군가 이유 없이 나를 괴롭힐 때 그 누구를 놓아주라고 합니다. 똑같이 해주겠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그리 생각하면서 살아가는 과정이 내 마음을 아프게 함으로써, 내가 스스로를 계속 괴롭히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누구를 놓아버리면서 마음에 고요가 찾아오고 편안해진다고 합니다. 또한, 주인은 말합니다. 자기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지 못할 때도 있다고 합니다. 마음 속에 존재하는 '내면의 목소리'가 속삭일 때, 마음을 어지럽히는 소리를 귀담아들었을 때, 과거와 미래에 대한 걱정을 생각할 때도 놓아버리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마음이 고요해지며 편안해진다고 합니다.
위의 언급한 내용만 보아도 아시겠지요? 고요함과 놓아버림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마음을 잘 챙겨야 한다는 뜻임을요. 이것을 본문에서는 '마음 챙기기'라고 표현했습니다. 저자 아잔 브람은 고대 불교 명상 호흡법을 통해 마음을 돌보며, 이것이 의학계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저는 명상의 효과를 모릅니다. 그래서 그 시간이 무의미하다 싶었습니다. 아무 소리도 듣지 않고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움직이 않고 가만히 보내는 시간이라면, 차라리 컴퓨터를 하던 책을 읽던 놀기라도 해야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편이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알았습니다. 일하기에도 놀기에도 공부하기에도 내 정신과 마음을 소비해야 한다는 것임을요. 매일 하루 중 절반의 시간을 공부하고 놀고 일하는데 익숙해 소비되는 줄도 몰랐습니다. 천천히 내게서 빠져나간 정신과 마음을 돌아오게 하기 위한 시간이 없었습니다. 그만큼 끊임 없이 뭔가를 하면서도 공허해져 가고요. 아마 대부분이 그렇지 않을까요. 새는 줄도 몰랐던 정신과 마음을 원래 자리로 돌려보내는 방법이 명상 같습니다. 명상을 하며 '고요함의 길, 놓아버림의 길'을 걷다보면 자연스레 마음을 챙기게 되는 것입니다. 짧은 시간이더라도 그 길을 한 번쯤 걸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http://sady_46.blog.me/140193027713 에 올린 글과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