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 명승기행 - 김학범 교수와 함께 떠나는 국내 최초 자연유산 순례기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 명승기행 1
김학범 지음 / 김영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 명승기행> 제목만 보고 떠오른 내용은 명승을 둘러본 작가의 감상. 일종의 여행에세이가 아닐까 싶었다. 작가 소개를 보니, 원예학과를 졸업했고 조경학석사에도 농경학 박사라고 하니, 왠지 꽃과 나무 이야기가 많이 나오겠다 싶었다. 그런 의미에서 풍경사진도 많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한 작가의 기행이라기보다 명승의 의미를 다시 돌아보고, 수많은 명승을 소개하는 도서에 가깝다.

 내게 명승이란 경치 혹은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다. 즉, 자연이 아름다운 곳으로 마음이 평온해지는 그런 곳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단어였다. 명승이 그런 곳이 맞기는 하다. 헌데 나라에서 지정한 명승이 있다. 그 사실을 이 책을 읽고서야 알았다. 우리나라에서 관광지를 '나라에서 지정한 명승'으로 경치가 매우 좋다고 소개하는 곳이 있었나 싶을 정도였다. 그런데 이외로 우리나라 보물로 지정되거나 사적에 지정된 곳 중에 명승을 겸하는 곳도 있으니 꽤나 많은 수를 차지하는 듯 싶다.

 그 수많은 명승을 저자는 테마별로 분류해서 명승 이야기를 한다. 원예학과 조경학을 전공하신 분이어서 그런지 깊이 있는 자연 이야기는 물론이고, 명승의 건축 이야기, 명승에 살던 역사 속 인물의 이야기, 명승에 깃든 전설이나 설화 등 다채로운 내용을 펼쳐간다.

 또한, 페이지 곳곳마다 삽입된 명승사진이 이해를 돕는다. 만약 명승에 대한 이야기만 실려 있었더라면 무슨 뜻일까 싶은 부분을 사진을 실어서 쉽게 이해하게 한다. 본문에서 하나 예를 들자면 명승제53호 수승대 중 거북바위에 대한 설명이 있다. 거북바위를 구연대라고도 하는데, 명칭은 마치 바위가 계류에 떠 있는 거북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라는 내용 바로 아래에 사진이 삽입돼있다. 명승마다 이런 식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노력이 엿보인다. 제목이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 명승기행> 인만큼 독자들이 느낄 수 있는 편집을 하려고 노력한 듯하다.

 그럼으로 이 책은 명승의 역사와 문화를 다루고 있지만, 중심에는 자연의 경치가 있다. 그 자연 경치를 책 속 사진으로 봐도 멋진데, 직접 보면 오죽할까. 만약 자연 속으로 여행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고 하고 싶다. 자연 이야기는 물론이고 깃든 역사까지 잘 설명하고 있는 '명승 안내서'인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 명승기행> 중에서 한 곳을 골라보라고 하고 싶다.

 

*이 도서는 http://sady_46.blog.me/140191863805 에 기재한 글과 동일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