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의 카르테 1 ㅣ 신의 카르테 1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채숙향 옮김 / 작품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출판된 지 나름 된 책입니다. 요즘에 이 책이 서점에서 누워있을지 어떨지도 확신이 안 섭니다. 이 책은 일본에서 사쿠라이 쇼와 미야자키 아오이가 주연으로 영화화 됐습니다. 그 시기에 맞추어서 한국에서 번역본이 출판되었고요. 그 시기에 한창 의학 드라마를 보던 때여서 재미있겠다고 생각하고 구매했습니다. 다른 책들에 밀려 뒤로 미루다가 요즘에서야 읽었습니다.
책은 생명을 살리는 소설답게 마음을 울리는 '생명의 가치'를 볼 수 있다는 광고문구가 등장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분명히 그것이 드러납니다. 병이 완치되기까지는 환자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장면이나 구리하라 이치토가 환자를 의료기기로 그저 호흡만 하게 만드는 것이 진정한 치료인지 고민하는 장면을 통해서 충분히 느껴집니다. 그런데 소설을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독자의 몫이라고 했던 가요. 저는 주인공이 지방에 있는 365일24시간 병원과 조건 좋은 대학병원 사이에 고민하는 부분이 크게 다가왔습니다.
주인공 구리하라 이치토는 대학을 졸업한 뒤 지방에 있는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혼조병원에서 일합니다. 의사도 간호사도 턱없이 부족해서 늘 당직에 시달리고, 하루에 진찰하는 환자만 기본 30명이 넘습니다. 그런 와중에 의사도 간호사도 많고 첨단의료기기도 제대로 갖춘 대학병원으로부터 오라는 제안을 받습니다. 평소 약간의 관심은 가지고 있던 터여서 구리하라 이치토는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대학병원으로 일종의 견학까지 갔다 옵니다. 그래도 주인공은 눈 앞에 있는 환자들과 일련의 일들을 겪으면서 그냥 혼조병원에 남기로 결정합니다. 대학병원에 가 보고 싶다는 마음을 품은 채.
여기서 궁금합니다. 이 사람은 우유부단한 걸까요, 소신이 있는 걸까요.
지금 당장 마주하는 환자를 놓고 떠나는 것이 싫어서 이럴까 저럴까 고민하다가 환자들과의 추억에 이끌려 우유부단하게 남은 경우일까요, 아니면 어디에서든 생명을 구하는 것은 똑같다고 생각하며 소신을 가지고 남은 경우일까요.
사람들은 선택의 기로에 있을 때 고민은 하되 네 마음이 들어간 결정을 하라고 하잖아요. 실패하든 성공하든 어떻게 되든 일단 마음이 들어가야 후회하지 않는다고요. 그런데 구리하라 이치토는 안 그래 보여서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자기가 이렇게 하겠다고 결정한 것이 아니라 어쩌다보니 혼조병원에 남는다는 선택을 한 것 같은데, 그게 꽤 자기 마음에 충실한 선택을 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또 마지막 페이지에 글을 보면 대학병원에 미련이 남아 보입니다. 구리하라는 과연 어느쪽일까요?
*http://sady_46.blog.me/140179463899 에 올린 글과 동일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