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백온유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로 일본 소설을 읽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한국에서 살면서 한국의 정서를 잘 알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한 달에 1권 정도는 한국소설을 읽자는 마음으로 매달 한국 소설을 결제합니다. 문제라면 한국소설을 워낙 읽지 않아서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지 가늠이 안 됩니다. 그래서 잡지도 읽어보고 SNS도 검색합니다. 그러다 매년 출간되는 <젊은작가상 수상 작품집>을 알게 됩니다. 현대와 밀접한 세계관을 지니고 있어서 굉장히 흥미롭더군요. 그 뒤로 매년 읽고 있습니다.

 

<2025 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에는 총 7편의 소설이 수록되어 있고, 소설마다 평론이 실려 있습니다. 소설을 읽으면서 감정에 몰두해버리고는 하는데 평론이 실려 있어서 객관적인 분석을 읽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모든 소설이 제 감정을 툭툭 치지만 가장 큰 한 방을 먹인 소설은 <바우어의 정원>입니다. 따라서 이 감상문에서는 <바우어의 정원>을 다루고자 합니다.

 

은화는 배우입니다. 배우 경력이 단절된 배우입니다. 다시 배우를 시작하려고 오디션을 보러 갑니다. 그곳에서 과거 같이 드라마 치료 워크숍에서 알게 된 동료를 만납니다. 은화와 동료는 내담자의 보조 자아를 연기합니다. 보조 자아에게는 가이드라인이 있습니다. 내담자가 어색해 하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는 가이드라인입니다. 보조 자아는 처음에는 가이드라인에 맞추어서 이야기합니다. 치료가 진행되면서 분위기에 익숙해진 내담자가 자신의 마음을 드러냅니다. 그 때는 가이드라인을 벗어나서 내담자의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 말을 해야 합니다. 순발력과 연기력을 필요로 하는 대목입니다. 감정을 격렬하게 호소하는 내담자 앞에서 은화가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은화가 보조 자아는 잘못했다고 빌고 변명하는 역할이었다고 회상하는 이유일 것입니다.(68) 그 이후, 내담자가 어떤 삶을 살아가는지 은화는 모릅니다. 다만, 추측해 볼 여지는 있습니다. 왜냐하면 은화도 내담자처럼 재우고 있는 보조 자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은화는 보조 자아가 깨어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떱니다. 은화에게 보조 자아는 일종의 부채(負債)입니다. 스스로 과거의 행동이 잘못이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스스로 그 행동의 원동력이 대상에 대한 분노라는 사실도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자신이 그렇게 했다는 사실과 불편함을 외면합니다. 정림과 만났을 때 부채를 떠올리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기억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지금까지 잊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보조 자아로서 심연에 잠들어 있을 뿐입니다. 앞으로도 마음에 새긴 채로 보조 자아가 깨어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같은 잘못을 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 그것을 구원처럼 여기며 살아왔기에 떠오른 셈입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같은 잘못을 하지 않는 자세는 필요합니다. 그런데 보조 자아가 움직이지 않으면 동일한 잘못을 하지 않을까요? 보조 자아에게도 발언 기회를 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보조 자아의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는다면 보조 자아도 스트레스를 느낍니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분노로 변화합니다. 분노는 동일한 잘못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잊게 합니다. 대상만 바뀌고 같은 잘못을 저지를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을 막으려면 보조 자아를 어르고 달래야 합니다. 네가 기억하는 서사에서 이 부분만 주의하면 돼. 잘못을 계속 떠올리며 같은 잘못을 하지 않도록 노력하면 다시 용서를 구할 기회를 얻을 수 있어. 그러니까 속죄하며 살아가면 돼. 가끔 네가 숨쉬기 힘들면 이야기를 들어줄게. 지금처럼 내게 신호를 줘. 보조 자아를 무작정 재우려 하지 않고, 공감을 해 주며 차분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보조 자아에게 자신도 같이 살아가는 동료라는 인식만 심어줘도 분노를 가라앉힐 수 있습니다. 다시 심연에 돌려보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보조 자아의 신호를, 반응을 무시하지 마세요. 모든 것이 높게 쌓이거나 깊이 새겨지면 폭발합니다. 폭발하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그러기 전에<아티스트 웨이(줄리아 카메로, 경당)>에 소개된 아티스트 데이트도 하나의 방법으로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