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김성우 지음 / 유유 / 2024년 8월
평점 :
검색. 여러분은 하루에 몇 번 검색을 하나요? 물론 피드에 뜨는 기사를 읽는 분이 더 많을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새로운 이슈가 생기면 관련된 정보를 얻으려고 검색하기도 합니다. 그 때마다 곤란했던 적은 없나요? 이슈와 관련 있어 보이는 듯하면서, 묘하게 핵심을 피하는 글들도 꽤 많이 보지요. 즉, 온라인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으려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얻기 위한 검색어를 떠올려야 합니다. 혹여 떠올리지 못한다면 관련된 정보 속에서 자신에게 맞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요? 챗GPT로 일컬어지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가끔 등장하는 내용입니다. 질문을 되도록 구체적이고 질문을 해야 챗GPT가 더 정확하게 대답한다는 게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하고 있는 검색과는 무엇이 다를까요? 몇 가지 키워드를 제시하고 글을 써 달라고 하면 써 준다는 겁니다.
글을 어떻게 써야 할지 감이 오지 않을 때 몇 번 사용하기도 합니다. 챗GPT가 쓴 글은 챗GPT에게 물어본 ‘순간’의 마음을 표현하지 않습니다. 관련된 내용을 편집하여 기승전결 논리에 맞추어 글을 씁니다. 그 글 안에는 질문한 사람의 생각과 같은 부분도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 자신의 주장에 도움이 될 주제를 골라내어 써 내려가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뜻이 됩니다. 글쓰기의 도입부를 써 내려갈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시간이 흘러서 인공지능이 훨씬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더 논리적인 글을 쓰게 되는 상황이 온다면 우리는 검색과 쓰기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만약 그런 분위기가 지배적이라고 해도 검색과 쓰기를 꾸준히 시도하는 사람이 존재하기를 바랍니다. 챗GPT는 이미 적힌 글로만 데이터를 학습합니다. 게다가 챗GPT를 제작하는 사람이 제공하는 자료만을 학습합니다. ‘지금 이 순간’ 변화하는 흐름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챗GPT가 생성한 글이 사실인지 아닌지, 사실이라고 해도 반대 의견은 없는지 검색하고, 자신의 의견은 어떠한지 생각하고 써 보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