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절제술 트리플 21
서윤빈 지음 / 자음과모음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NS에서 <날개 절제술>이라는 제목을 보자마자 온라인 검색을 했습니다. 표지에 흰 날개가 그려져 있고, 그 날개로 떨어지는 아이가 그려져 있었습니다. 날개를 절제한 아이가 추락하는 게 아닐까? 그렇다면 왜 아이는 날개를 절제해야만 했는지 궁금했습니다. 마침 이벤트 중이라서 도서를 제공받고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소설집 <날개절제술>, <리튬>, <다이윗미>, <배틀그라운드>가 실려 있습니다. 이 감상문에서는 <날개절제술>(이하 <날개>)을 다루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제목에서 어떤 느낌을 받으셨나요? 병을 치료하는 것처럼 병원에 가면 그 수술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당연히 아이가 그 수술을 받기를 선택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웬걸?! 뚜껑을 열어보니 그게 아니었습니다. 그 이유가 참 씁쓸했습니다. 자신이 겪은 고통을 물려줄 수밖에 없는 모성이 처절했기 때문입니다.

 

소설에서는 아이가 그냥 머리 위의 링을 보기 전까지 아이는 스스로가 천사라고는 단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p31)고 합니다. 그러나 사실 그 이전에 아이는 알지 않았을까요? 자신은 천사였다는 걸. 왜냐하면 날개를 제거하면서 고통을 느꼈으니까요. 모진 고통을 겪고 그 이유를 모를 수가 있을까요? 종종 부모는 아이가 인간을 연기한다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p24)고 합니다. 자신의 언행이 착하다는 칭찬에 늘 화를 냈던 부모입니다. 자신의 기억에 자리 잡은 고통, 칭찬이 험담으로 바뀌는 순간들의 반복은 아이가 자신이 다른 사람과 다른 존재일지도 모른다고 여기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의 흉내를 내보자고 결심했던 게 아닐까요?

 

사람들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날개를 제거하고, 링을 제거하고, 성형수술까지 합니다. 자신이 천사라는 사실을 자각하면서도 현실에서 살아가려고 그렇게 합니다. 아이는 생각합니다. 언젠가 날개와 링을 제거하지 않아도, 성형수술을 하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올까? 그러려면 자신처럼 고통을 겪은 천사가 많아져야 하지 않을까. 같은 고통을 천사들이 많아질수록 다양성을 존중 받는 범위에 속하게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으로 아이는 출산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인간들은 천사를 이용하는 방식에 익숙해진 것이지, 천사를 자신들과 동등한 상대로 대하는 데 익숙해진 게 아니니까요. 천사로 대변되는 소수의 사람들은 하나의 생명으로서 존중받고 싶다는 갈망이 채워지기를 바라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 이 감상문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