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3년 6월
평점 :
여러분은 혹시 방송 <알쓸신잡>을 아시나요? 재미있게 봤던 프로그램이라서 지금도 가끔 VOD로 볼 때가 있습니다. 지금은 출연진이 익숙하지만, 처음 봤을 때는 MC를 빼고는 다 생소한 분들이었어요. 과연 재미있게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인지 반신반의하며 봤습니다. 생각보다 출연진의 입담이 좋아서 흥미로웠습니다. 방송의 히트를 계기로 출연진의 저서도 많이 출간되었지만 사서 읽지는 않았습니다. 방송을 볼 때마다 출연진의 전문성이 매우 높게 느껴졌고, 그런 사람이 쓴 책을 읽은들 이해도 못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었거든요.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이하 <문과>)도 그런 책이었습니다. 저자에 대한 친근감으로 장바구니에 넣었다가 늘 삭제하는 책이었습니다. 인문학 이야기도 잘 이해하지 못하는데, 거기에 과학을 더하면 절대 이해하지 못할 책이라는 확신과 함께.
그러던 어느 날, <서울리뷰오브북스> 11호에 <문과>의 서평이 실렸습니다. 그 서평이 이 책을 구매하게 만들었습니다. 교양 심리학 도서를 읽다가 뇌과학 분야의 책도 조금씩 건드리고 있었기 때문에 흥미로운 대목을 발견했지요. 저는 뇌과학 분야에서 머물고 있는데, 작가님은 뇌과학 분야에서 생물학 분야로 지적 이동을 하셨더라고요. 왜 그렇게 됐을지 궁금했고, 결국 읽었고, 감상문을 쓰고 있습니다.
작가님은 자신을 운명적 문과로 지칭합니다. 수학을 못해서 문과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면서요. 그러나 작가님과 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작가님은 물량공세를 펼치면 수학 문제를 어느 정도 풀 수 있는 이해력이 있었지만, 저는 그것조차도 없었습니다. 아무리 친절하게 설명을 해 줘도 바로 받아먹지 못하는 사람이었으니 문과 쪽에서도 딱히 빛을 보지 못했습니다. <문과>를 읽으면서 그 사실을 더 깊이 느꼈고, 세상에는 공부할 게 이렇게 많다는 생각을 하며 책을 덮었습니다. 인문학 이야기도 과학 이야기도 어렵지만 그래도 한 마리의 생선을 건져 올리기는 했습니다. 새끼라서 바로 방생을 해 줘야 할 것 같지만요.
이 책을 읽고 화학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을 수 있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밤에 다시 잘 때까지 화학제품을 소비하면서 화학을 나쁜 놈처럼 취급하는 모순을 일깨워준 챕터가 있습니다. 바로 ‘화학은 억울하다’ 챕터입니다. 화학의 연구대상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입니다. 물질의 구조, 성질, 관계, 변화를 연구합니다. 물질은 법칙대로 움직이는데, 법칙을 바꿔가며 다른 변화를 발견하고 자연과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은 사람입니다. 좋지 않은 물질을 생성하는 책임을 화학에게 물어서는 안 되는 이유지요.
그나마 다행인 점은 최근에는 에코가 자리를 잡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기업이 제품을 출시할 때, 메인 카피로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를 합니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지구와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한다고 분석할 수 있겠지요. 화학을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호로 보입니다. 트렌드처럼 시간과 함께 사라질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문과>가 작가님의 유명세로 끝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운명적 문과 + 열세한 문과인 입장에서 이 책은 과학 교양서로 충분한 가치를 지녔습니다. 이번에는 하나만 건졌지만, 다음에는 하나 더 건지고 싶습니다. 그러려면 인문학 공부도 더 해야겠군요. 이 책의 예시를 이해하려면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