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풋 트레이닝 - 적게 일하고 더 많이 인생을 즐기는 방법
가바사와 시온 지음, 전경아 옮김 / 토마토출판사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저를 인풋형 인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드라마, , 노래, 영화, 거리 풍경 등 오감이 받아들이는 정보는 몹시 많습니다. 그러나 혼자 머릿속에 두다 시간이 흐르면 잊습니다. 그나마 책의 내용을 기억하는 경우가 많은데, 감상문을 써서 그런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쓰기를 중심으로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찰나에 이 책을 발견했습니다. 저자는 듣기와 읽기를 인풋이라고, 말하기, 쓰기, 행동하기를 아웃풋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딱 제 고민과 맞아떨어지는 도서이지 않나요?

 

저자는 아웃풋을 통해 현실이 바뀌고 성장한다고 합니다. 그 과정을 지켜본 사람들의 인정을 받음으로써 의욕적으로 아웃풋을 하려고 마음을 먹게 되는 긍정적 순환을 이룬다고 말합니다. 제가 감상문을 꾸준히 쓰는 이유도 이런 구조 때문이겠지요. 1명이라도 읽어 주는 사람이 있다면 쓰고 싶은 마음이 솟아나니까요.

 

그래도 더 많은 사람이 읽어줬으면 좋겠다는 마음은 있습니다. 왜 어떤 글은 조회수가 높은데 어떤 글은 낮을까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그래봤자 도긴개긴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비로소 피드백을 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돌이켜 보면 감상문을 쓰고 업로드 한 뒤로는 돌아보지 않았거든요. 글의 반응이 올라오는 것도 아니고 저만의 독서노트로 여기면서요.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온라인에 공개하는 일은 네티즌의 반응이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완성된 감상문을 분석하며 제 변화를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제 생활방식, 사고방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분석하고 다음 스텝을 생각할 수단이 되는 거죠. 이 모두가 아웃풋의 피드백 과정에 속하겠지요. 이 감상문을 쓰고 난 뒤부터 제 글을 제가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이 책의 큰 특징은 세부적인 목차, 도식입니다. 목차가 세세하게 나누어져 있어서 필요한 부분만 찾아 읽어도 좋습니다. 각 챕터의 내용을 도식으로도 설명하고 있어서 글을 읽을 시간이 없는 분들도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책입니다. 그만큼 이해하기 쉬운 내용과 구성이라는 뜻입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챕터5 아웃풋 능력을 향상시키는 7가지 훈련법의 내용입니다. 서두에 아웃풋은 말하기, 쓰기, 행동하기로 밝혔는데도 쓰기를 중점으로 설명되어 있더군요. 말하기, 쓰기, 행동하기의 균형을 맞췄더라면 더 좋은 책이었겠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