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쉽게 쓰는 법 - 네이버 도서 인플루언서가 알려주는
이혜진 지음 / 더블:엔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태껏 감상문과 서평은 다른 장르라고 생각하셨나요? 저도 그랬습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구절, 책의 내용이 제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만 적었습니다. 어차피 개인적인 기록을 쓰는 것이니, 책의 객관적인 정보는 필요하지 않다고도 생각했고요. 그랬던 제가 새로운 장르를 알아버렸습니다.


책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담되, 개인적인 적용점과 경험을 담은 글.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관점, 깨달음이 담긴 글. 이 글을 서평 후감이라고 부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비로소 제가 쓰고 싶은 장르를 발견한 기분이었습니다. 감상문을 쓰면서 이왕이면 많은 사람들과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려면 읽는 사람도 책의 객관적 정보를 알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껏 제가 쓴 감상문에는 정보가 하나도 없더라고요. 제 감상문을 읽은 분이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도 정보가 없으니 그냥 건너 뛸 수도 있겠더라고요. 제 글이 많이 부족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그래서 500권 이상의 도서 서평을 기록하면서 서평 후감이라는 장르를 개발한 인풀루언서 이혜진의 비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일단 서평 후감의 구조를 저자는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읽게 된 계기

, 저자 소개

저자의 집필 의도 및 책의 핵심 키워드 요약

책에 대한 평가

개인적인 적용점


위의 구조는 서평 후감의 윤곽입니다. 이 틀을 모든 책에 적용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저자가 장르별로 서평 후감을 쓰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장르별로 쓸 내용과 구조가 바뀌기 때문이 아닐까요? 이곳에서는 어떤 장르의 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서평 스텝만 추려보기로 합니다.


1. 책의 제목과 표지, 책날개, 띠지 등을 체크하기

2.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보기

3. 목차와 서문을 읽고 핵심 키워드 찾기

4. 책에서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을 저자의 전문성, 목차의 명확성, 논리적인 전개, 예시의 적절함 등의 범주로 나누어 정리하기.


위의 방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자료는 대부분 책의 객관적 정보입니다. 반면에 서평 후감의 후감 부분을 쓰기 위한 자료를 모으는 방법이 따로 기술되어 있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이런 아쉬운 점이 있어도 이 책은 독후감을 업그레이드 하고 싶은 독자에게 길라잡이가 되어 줄 것입니다. 평소에 책을 읽으며 소홀히 하는 점을 정확히 짚어주고 그 이유와 예시까지 적절히 설명해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평(서평 후감)을 쓰면서 막히는 부분이 있을 때, 이 책의 목차는 문제점을, 내용은 정답을 제시해 줄 겁니다. 사전처럼 활용할 수 있는 도서입니다.

 

덧붙임.

개인적으로 후감의 글감을 모으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하버드 글쓰기 강의(바버라 베이그, 에쎄)>에 소개된 초점화된 프리라이팅을 추천합니다. 초점화된 프리라이팅은 한 가지 주제를 설정하고 제한 시간을 두고 끊임없이 책과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적는 것입니다. 문법, 호응, 적절한 어휘 사용은 신경 쓰지 않고요. 제한 시간 동안 쓴 글을 시간이 흐른 뒤 다시 읽으면 후감에 쓸 키워드가 보입니다. 키워드를 활용해 가지치기를 하면 후감에 쓸 자료는 충분히 모아집니다. 한 번 시도해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