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글쓰기 강의 - 30년 경력 명강사가 말하는 소통의 비밀
바버라 베이그 지음, 박병화 옮김 / 에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 하면 무엇을 떠올릴까요? 책을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을까요? 저도 그런 사람입니다. 어린 시절 글쓰기에 흥미를 느꼈을 때, 글을 쓰는 직업은 작가뿐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런데 나이를 먹고 나니 글쓰기는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는 걸 알았습니다. 온라인에 적힌 누군가의 에세이, 도서 홍보를 위한 책자, 독자에게 어필하기 위한 서점의 팝업 등 셀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글쓰기는 일상 곳곳에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었습니다. 특히 책과 글쓰기는 관련이 깊었습니다. 제 꿈은 책과 관련된 직업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려면 다양한 분야의 글쓰기 실력이 기본으로 깔려야 된다고 생각했어요. <논증의 탄생> <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문장강화> 등의 책을 읽으며 글쓰기를 공부했습니다. 적절한 어휘 사용, 문장의 호응, 올바른 맞춤법 사용을 글쓰기의 실력이라고 믿었습니다.

 

바버라 베이그의 이론에 따르면 저는 기교만 공부한 셈입니다. 저자는 기교 못지않게 글의 내용도 중요하게 여깁니다. 흥미로운 아이디어와 정보, 장면, 이야기, 인물 등을 통해 말할 거리를 찾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쓴 글을 보면 글의 주제가 명확하지 않았던 이유라고 생각했습니다.

 

바버라 베이그가 말한 글쓰기 훈련 단계를 요약해 보겠습니다.


1. 프리라이팅을 통한 주제 선정

2. 프리라이팅을 활용한 내부 모으기(초점화된 프리라이팅)

3. 자신의 주제에 들어맞는 자료를 외부에서 모으기

4. 자신의 주제와 어울리는 자료를 선정하기

5. 자신의 주제가 잘 드러나도록 배치하기


바버라 베이그의 글쓰기 훈련 방법을 보니 도대체 프리라이팅이 무엇인가? 궁금하시죠? 프리라이팅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직접 프라이팅 해 보니 그 날 읽고 있는 책에 대한 내용을 적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내용 전개도 허술하고 어휘 선택도 어설펐습니다. 책을 읽은 뒤의 느낌, 생각도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요. 물론 책 이야기를 하다 현실 이야기를 적기도 하니 일관성이 없죠.

 

대신 2단계로 진입하는 데 큰 고민을 하지 않습니다. 초점화된 프라이팅은 글의 개요를 짜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독서 감상문을 쓴다면 책에 초점을 맞추어 프리라이팅을 합니다. 해당 도서와 관련된 내용이면 무조건 씁니다. 영화 제목, 노래 제목이 떠올라도 적습니다. 다른 책 내용이 떠올라도 적습니다. 당연히 제가 어떻게 느꼈는지도 적습니다. , 참고로 저는 2단계는 프라이팅을 제한 시간을 30분으로 정했습니다. 제 내부에 잠재된 모든 이야기를 꺼내기 위해서요.

 

초점화된 프리라이팅을 끝내고, 잠시 방치합니다. 몇 시간 정도. 그 뒤에 읽으면 각각의 글 속에 공통점이 보이고 쓸 내용과 구성이 떠오릅니다. 그걸 뒷받침할 내용을 외부 모으기 단계에서 모으고, 마지막에 배열을 하는 거죠. 그러고 나서 기교 부분을 확인하고 보충하는 작업을 합니다.

 

독자 여러분도 바버라 베이그의 글쓰기 훈련법을 적용해서 글을 써 보시면 아실 겁니다. 글 한 편을 쓰는데 에너지가 얼마나 많이 들어가는지. 시간도 많이 소비됩니다. 그래도 쓰고 싶은 글을 쓰고 있어서 기쁜 마음으로 그 단계를 밟아서 이 글을 씁니다.


진정한 작가란 실제로 글을 쓰는 사람이지 글에 관해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다....(중략)...진정한 작가란 차례차례 종이 위에 단어를 옮겨놓는 사람이다. 이 행위는 가장 기초적인 차원에서 작가가 된다는 의미다.

저자는 작가를 나노 단위로 나누어서 설명합니다. 매일 밤 일기를 쓰는 당신도 회사에서 보고서를 쓰는 당신도 학교 과제를 쓰는 당신도 모두 작가에 속하는 사람입니다. 딱 한 번, 시도해 보자고요. 자신과 맞지 않는다면 하지 않으면 그만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