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 - 삶의 속도를 늦추는 느림의 미학
최복현 지음 / 휴먼드림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시간을 지배하며 사는 사람


그런 여유로운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


일을 하면서... 또는 공부를 하면서 나는 항상 여유를 느끼지 못했다. 시간을 지배하지 못하여서 인가... 아직도 부족함을 많이 느낀다.



그곳의 현장감독은 그냥 옆에서 지켜보고만 있었다. 워싱턴이 웃옷을 벗어놓고 가서 그 일을 열심히 도와주었다. 그러고 나서 감독관에게 이렇게 물었다. “왜 당신은 보기만 하고 일이 진행되지 않는데도 가만히 있는 거요?” 그러자 감독관은 “나는 감독하는 사람이기 때문이오.”라고 대답했다. 그때서야 워싱턴은 자기 명함을 꺼내주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이런 사람인데 다음에도 어려운 일이 있으면 불러주시오.”


여유란 한가한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바쁜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신의 선물이기 때문이다. 당당함으로써, 자신감을 가짐으로써,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 자신뿐 아니라 모두를 편안하게 하는 존재로 살아가야만 한다.


로버트 슐러 목사는 “왜 자신을 사랑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다음과 같은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당신은 이 세상에서 단 한 사람이다. 

둘째, 당신만의 지문이 있다. 당신만의 각인을 이 세상에 새길 수 있다. 

셋째, 당신에게는 독자적인 능력이 있다. 보이지 않는 그 가능성을 발견하고 실현하라.

넷째, 당신에게는 소명이 있다. 당신은 독자적인 목적을 위해 태어났다.


Family, 패밀리라는 말은 원래 father(아버지)의 fa와 mother(어머니)의 m에다 나는의 i와, love(사랑)의 l, 그리고 you의 y가 합쳐진 말, 즉 “아버지, 어머니,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의 합성어라고 한다.


단어하나에 이렇게 큰 의미가 있다니...이런 단어의 의미를 분석해놓은 책이 있으면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진짜 원하는 인생을 살고 있는가
임재성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답만 잘하는 ‘착한 사람’이 아니라 현실을 명확하게 진단하고, 나아갈 길을 꿰뚫어 볼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습관을 바꾸지 않고서 더 나은 미래를 꿈꾸지 마라. 어제와 같은 익숙한 인생이 펼쳐질 뿐이다.


“시를 통해 순수한 감성을 불러일으키고, 예를 통해 도리에 맞게 살아갈 수 있게 되며, 음악을 통해 인격을 완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퍼센트의 부자들과 99퍼센트의 우리들 - 빈곤 퇴치를 위한 12가지 제안
태비스 스마일리 외 지음, 허수연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거시적 관점의 책이다...


개인이 읽어서...도움이 되..겠지....만..

난 아닌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니 부잔의 마인드맵 암기법
토니 부잔 지음, 권봉중 옮김 / 비즈니스맵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여러가지 암기법을 개괄해준다...

메이저 기억법이 특히 눈길을 끄는데...

내제화를 시켜줄 만큼 친절한 책은 아니고...알아서 내제화를 시켜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인생을 바꾸는 돈 공부 입문 - 현직 은행원의 돈 관리 노하우
최현진 지음 / 중앙경제평론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그대로.. 입문이다... 큰 기대를 안하면... 된다...


‘4W(Want: 욕구를 조절하라, Waste: 낭비를 줄이고 합리적으로 소비하라, Wealth: 합리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라, Work: 최대한 오래 일하라)’이다.


“부자란 부를 늘리는 데 더 이상 관심이 없는 사람이다”라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사전적 의미의 ‘부자’를 해석해본다면 ‘부자’란 자신이 쓸 만큼의 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부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사람으로, ‘살림이 넉넉한 정도’란 자신의 생활수준에 맞춰 소비하는 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재산 수준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영국의 저술가 새무얼 스마일즈는 이러한 차이를 ‘검약’에서 찾고 있다. ‘검약’이란 ‘돈이나 물건, 자원 따위를 낭비하지 않고 아껴 쓴다’는 뜻이다. 그의 저서 《검약론》은 영국이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급속도로 변하는 시기에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되고, 노동자들은 방탕한 생활로 빈곤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어떻게 하면 노동자들을 교화하여 인간적인 삶을 살도록 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으로부터 나왔다. 그가 《검약론》을 쓸 당시 영국은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상당한 부를 축적했다. 그런데 국가는 점점 부유해진 데 반해, 역설적으로 국민들은 점점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국가의 부가 늘어난 만큼 빈곤층도 그만큼 두터워진 것이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되었을까?

새무얼 스마일즈는 원인을 노동자들의 무절제한 소비행태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이를 바로 잡기 위해 《검약론》을 저술했다. 노동자들은 급여를 꽤 많이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술과 본인들의 동물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두 탕진했다. 월급을 받자마자 소비해버리는 소비행태는 결국 습관으로 굳어졌고, 한번 굳어진 소비습관은 결코 쉽게 고쳐지지 않았다. 호황 뒤에는 불황이 오기 마련인데, 이를 망각하고 가진 돈을 다 써버린 노동자들은 결국 저축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게 되었다. 하지만 다시 돈이 생기면 언제 그랬냐는 듯 흥청망청 써버리기 일쑤였다.



구두쇠는 늘어나는 부 자체를 통해서 행복을 느끼지만 절약가는 자신과 가족의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써 돈을 모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