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이면 달라질 줄 알았다 - 지금 그대로도 좋은 당신을 위한 하루 심리학
이동귀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서른이면 달라질 줄 알았다]나는 반드시 행복해진다
- 서른이면 달라질 줄 알았다, 이동귀, 21세기북스
20대 후반이다. 아직 서른은 아니지만 제목에 끌려 ‘서른이면 달라질 줄 알았다’를 손에 들었다. 사람들은 인생의 특정 시점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한다. 수능 시험일, 대학 입학일 또는 졸업일 인생의 굵직한 지점에 기대를 걸고 그 시점을 무사히 넘기면 새로운 사람이 될 것을 기대한다. 하지만 수능을 보고 난 나의 모습은 그 전과 다를 바 없고 대학을 졸업하고 회사를 다녀도 나는 그대로 나다.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그저 변한 것이라고는 나를 만만하게 보는 사람들, 내가 그동안 겪은 일들이 타인이 봤을 땐 하나의 사건에 불과하다는 점 등 내 주변 환경이다. 예전에는 당하고 넘어갔던 일들에 감정 표현도 하는, 어제의 나보다는 과격한 사람이 되었다는 정도다.
그래서 사실 서른에 큰 기대는 없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글을 많이 접해서 그런지, 나이가 더 이상 어른의 지표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체감해서 그런지 30대의 나도 20대의 나와 크게 다를 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뭔가 달라졌음 하는 것들이 있다. 내 의사표현을 똑 부러지게 하고 싶고, 유능한 사람이 되고 싶다.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별하여 언제나 최선의 선택을 하는 혜안의 소유자가 되고 싶다. 똑똑한 사람이 되고 싶다. 서른이라는 나이를 변화의 시점으로 삼는 것은 아니지만 나이가 먹을수록 든든한 한 사람의 어른으로 성장했음 한다.
이 책은 저자의 상담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삶의 태도에 관한 이야기를 건네고 있다. 실제 사례를 서두에 배치하고 그에 따른 심리학적 이론과 분석을 곁들인다. 얼핏 보면 시중에 비슷한 도서도 많다. 하지만 딱딱해질 수 있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한다. 다양한 질문과 실제로 답을 해볼 수 있는 정보를 가득 담았다. 독자는 펜을 들고 자기를 돌아보며 책을 채워나갈 수 있다.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저자와 독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책 곳곳에 배치되어있다.
어떤 불편한 감정을 느낄 땐 한 발자국 떨어져서 문장형으로 정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시중에 나와 있는 심리학 도서도 똑같은 말을 한다. 하지만 실제로 연습할 땐 그 한 문장이 나오지 않아 더 답답함을 느낄 때도 있었다. 이 책은 사례에 대해 감정의 원인을 실제 문장으로 정리해준다. 왜 불만을 느끼는지, 불편함을 느끼는지 저자가 유형별로 예시 문장을 제시한다.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와 같이 특정 상황에 느끼는 당신의 감정은 이러하다는 식의 정리는 탁월하며 혼자서 연습하는 이들에게 실제적인 조언으로 다가온다.
책에서 반복하는 것은 다른 사람은 바꿀 수 없고 바꿀 수 있는 것은 타인과 환경을 바라보는 나의 태도다. 한계 짓는 말이지만 우리는 나 이외의 것을 바꿀 수 없다. 일상은 내가 변하지 않으면 변함없이 흘러간다. 시간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동일한 시간을 부여받았을 때 만족감과 행복을 최대로 느끼기 위해선 나 자신부터 변해야 한다. 이유를 알 수 없는 감정도 끊임없는 내면의 질문을 통해서 원인을 발견할 수 있다. 문제의 답은 내가 쥐고 있다.
총 2부 구성으로 1부가 나를 둘러싼 환경을 바라보는 태도를 바꾸기 위한 내용이라면 2부는 나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 내일을 꿈꾸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좌절과 절망의 사례를 가져와 분석한다.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게 손을 건넨다. 책의 제목이 ‘서른이면 달라질 줄 알았다’이지만 꼭 특정 나이에 연연해서 읽을 필요는 없다. 사람마다 다른 성격, 성향, 환경을 갖고 있다. 외적으로 주어진 숫자, 나이보다는 실제 마음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났다. 누군가의 감정 처리나 타인의 인생을 대신 짊어지고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내 인생의 주인은 나라는 그 명확한 사실 하나를 마음에 품고, 내 행복을 향해 내 자세와 태도를 바꾸고 싶다. 조금씩 노력하면 서른의 나는 좀 더 나은 사람이 되어 있지 않을까.